오늘은 별다른 생각 더 하지 않고 그냥 광장으로 간다. 집회 시각을 염두에 두고 여느 때처럼 김치찌개 집으로 향한다. 늘 혼자라서 우그러진 구석 자리에 앉는다. 지난주 건너편 구나방이 앉았던 자리에 오늘도 몇이 앉아 밥을 먹고 있다. 조용하다. 얘기 소리가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나지막이 두런두런 들려올 뿐이다. 내가 한창 식사를 하는 중에 그 일행이 일어서 나간다. 누군가 주인장을 보며 역시 나지막이 말한다. “나라 구합시다.”
손이 사라진 직후 식당 직원 하나가 말한다. “우리는 못 구하지.” 내가 짐짓 궁금증을 일으켜 주인장에게 묻는다. “나라 구하자는 말이 무슨 뜻입니까?” 주인장이 시큰둥하게 답한다. “낸들 아나요.” 더는 말을 섞을 수 없다. 촛불 대행진 참여자일 가능성이 큰데 그동안 이런 사람들을 수없이 겪었을 ‘광화문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부류로 여기고 있는 듯하다. 개독 패거리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이려나. 글쎄, 이런 의문 자체가 부질없다 싶다.
집회는 최근 한국인 체포 감금 사태 때문에 반제국주의 외침으로 크게 쏠려 있다. 때마침 남미 활동가가 연대 발언하는 중이다. 세부 상황이 사뭇 다르겠지만 제국 USA가 저지르는 깡패짓에 피해당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남미 여러 나라와 우리는 같다. 함께 손잡아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 일반인에게 익숙하지도 않은 베네수엘라에서 여기까지 날아왔으니 말이다. ‘베네수엘라 사람’은 ‘광화문 사람’보다 얼마나 더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여기 왔나.

연대란 말을 들으면 운동권을 떠올리며 무슨 부가된 행위처럼 여기지만 연대는 문화가 아니다. 자연이며 본성이다. 포유류 생존 전략이자 무기다. 연대 없이 살아갈 수 있다는 자신감은 파충류에게나 가당하다. 먹고사느라 정치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는 말은 실상 자기기만이다. 예술가는 정치 백치일 수밖에 없다는 말과 동일하다. 정치가 바로 먹고사는 문제 자체며 살벌한 예술 행동 본진인데 그 무슨 맹랑한 소린가. 위장된 자학과 자만일 뿐이다.
정색하고 집회 참가자 한 사람 한 사람 얼굴과 행색을 살핀다. 도저히 이런 데 나올 수 없는 얼굴과 행색들이 각막을 가르고 들이닥친다. 따지고 보면 내 얼굴 내 행색은 뭐 그리 다르겠나. 다들 시난고난 앓으면서 그나마 눈 마주치는 길을 찾아 더듬더듬 오지 않았나. 누군들 여유 있어 능력 좋아 열정 뻗쳐 의분 넘쳐 여기 왔겠나. 장삼이사 무지렁이들이 살고 싶어서 종주먹 불끈 쥐고 오늘을 기다리지 않았나. 그렇게 살아서 연대가 연애일 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