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혁(성형외과 전문의) 님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그대로 싣는다
대학 동기인 이승훈 교수가 이토록 멋진 강의를 하고 있을 줄 몰랐다. 신경과 교수이지만 내분비, 생화학, 영양학을 넘나들며 일반인들의 주 관심사들을 매우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고 있는데, 상식을 뒤집는 아주 예리하고도 중요한 설명이 흥미롭다.
요점은 비만과 당뇨에 있어 포도당이 주범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탄수화물 혐오의 시대에 살고있다. 흰쌀과 밀가루는 당뇨와 비만의 주 범인으로 낙인찍혀 있고 과일, 고단백질 고지방식이 건강을 위해 환영받고있는 것인데. 과연 그것이 과학적으로 완전무결한 진리일까?내가 조금만 이 강연에 msg 쳐서 풀이한다면 쌀과 밀 등 곡류가 주로 갖고있는 것은 포도당인데, 포도당은 몸에서 저장을 잘 안 하고 거의 들어오는대로 쓰여져 없어진다는것이다. 이게 뱃살 옆구리살로 갈 틈이 없다. 반면, 과일 속에 풍부한 과당은 인간 체내에서 곧바로 저장소로 직행하고 소비가 잘 안된다는 것이다. 저장소란 지방세포이니, 빠르게 내장지방, 복부비만의 원인이 되고 만다. 그리고 비만이 곧 2형 당뇨의 원인이다. 비만에서 벗어나면, 2형당뇨는 롤백되고 없어지기도 한다.타히티섬 원주민들은 농사를 짓지 않고, 무진장하게 열려있는 열대과일들을 먹으며 살아왔다. 햄버거 피자 라면 이런거 없어서 전연 못먹던 시절에도 푸짐하고 비만한 몸매였다. 이것은 곧 과당이 비만의 주범이 아닐까라는 인사이트를 만들었고, 실제 미국에서 액상과당이 옥수수로부터 엄청나게 생산돼 청량음료나 베이커리(케이크), 각종 단맛나는 가공식품 등에 쓰이게 된 이후부터 미국인들의 비만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었다. 포도당 섭취나 스테이크때문은 아니었다. 국수나 면 즉 밀가루, 흰 쌀등은 몸에 안좋다는 상식은 탄수화물 혐오와 겹쳐 현재 우리의 식단을 지배하고 있고 특히 여성층, 젊은층에게 어필하고있다. 이때문인지 한국의 쌀 소비량은 현저하게 떨어지고있고 그게 쌀농사의 위기로까지 번졌다.우리 몸의 유전자는 이 한반도에 수천년 이상 살아온 조상들의 dna에서 크게 다르지 않고, 이들은 그 긴 세월동안 쌀을 대량으로 먹으며 지냈다. 한국 토종식물을 미국이나 러시아땅에 옮겨심으면 거기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벼란간 불어온 탄수화물 혐오 현상 역시 한국인의 몸에는 스트레스일 것같다. 나는 한국 식당에 가면 나오는 공기밥 사이즈부터 바꿨으면 한다. 성인 주먹 분량만큼만 나오는 밥의 양은 자꾸 디저트나 식후의 주전부리를 자극할 수 있다. 우리 조상들처럼 고봉으로 떠먹는 정도의 량은 아니더라도, 지금보다 밥의 섭취량은 많아져도 된다. 비만에 있어 가장 위협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상당량의 포식 후 칼로리 로딩이 대단히 높아진 상태에서 나오는, 식후의 과일 디저트 (아이스크림 포함)이다. 이게 햄버거나 라면보다 훨씬 나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