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보이차 한잔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18일

오늘의정진: 聞說如來頓敎門/문설여래돈교문/여래의 돈교문 설함을 듣고는

- 100일 정진, 83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아흔 세 번째와 아흔 네 번째 구절은

<嗟末法惡時世/차말법오시세/ 말법을 슬퍼하고 시세를 미워하나니

衆生薄福難調制/중생박복난조제/중생의 복은 얇아 조복 받기 어렵다

去聖遠兮邪見深/거성원혜사견심/성인 가신지 오래고 사견이 깊어짐이니

魔强法蒻多怨害/마강법약다원해/마구니가 강하고 법은 약하여 원한과 해가 많도다> 였다.


붓다 생전에 제자들의 질문에 답을 주지 않으신 적이 있다. 붓다는 정각을 이룬 후 신통력을 통해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의 모든 것을 다 아시는 분인데 어째서 말씀이 없으셨을까? 경전에서는 부처님께서 대답해주지 않은 열 네가지 질문을 십사무기(十四無記) 라고 부른다.

<세상은 영원한가? 세상은 영원하지 않은가? 세상은 영원하기도 하고 영원하지 않기도 하는가? 세상은 끝이 있는가? 세상은 끝이 없는가? 세상은 끝이 있기도 하고 끝이 없기도 하는가? 세상은 끝이 있는 것도 아니고 끝이 없는 것도 아닌가? 몸과 마음은 같은 것인가? 몸과 마음은 다른 것인가?  여래는 끝이 있는가? 여래는 끝이 없는가? 여래는 끝이 있기도 하고 끝이 없기도 하는가? 여래는 끝이 있는 것도 아니고, 끝이 없는 것도 아닌가? >

그 당시에 뭐 이런 말 장난 같은 질문을 던진 제자가 있었다. 그 제자는 '스승께서 만일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속 시원히 하지 않는다면 나는 스승 곁을 떠나리라' 고 속으로 다짐을 하며 이 질문을 던졌다. 이에 붓다는 이렇게 답하신다.

<그대는 내가 이 질문에 답을 주겠다고 약속한 적이 있는가? 그대는 내가 이 질문에 답을 준다는 약속 때문에 수행을 하는가? > 이에 그 제자는 그런 것은  아니라고 대답한다. 그러자 붓다는 <그럼 그대는 약속도 하지 않았건 만 수행에 대해 어찌 조건을 달고 흥정하려는 가?> 하며 제자의 마음가짐에 대하여 꾸짖으셨다. 그러면서 십사무기에 관한 답을 하지 않은 이유를 설파 하셨다.

공자(孔子 B.C 551~479) 또한 제자들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은 적이 있었다.

<子不語怪力亂神. (자불어괴력난신: 공자는 괴이하고, 힘으로 하는, (사회를) 어지럽히는, 귀신에 관한 일은 말하지 않았다.)> 술이편

오래전부터 성인들은 묻지 말라고 하셨지만 나는 아직도 십사무기와 괴력난신의 답이 궁금하다.

 

오늘은 아흔 다섯 번째와 아흔 여섯 번째 구절

聞說如來頓敎門/ 문설여래돈교문/ 여래의 돈교문 설함을 듣고는

恨佛滅除令瓦碎/한불멸제령와쇄/부숴 없애지 못함을 한탄하는 도다

作在心殃在身/ 작재심앙재신/ 지음은 마음에 있으나 재앙은 몸으로 받나니

不須怨訴更尤人/불수원소갱우인/모름지기 사람을 원망하고 허물지 말지어다


잘 하고 싶어하는 마음 때문에 자꾸 뭔가를 지어내서 하려고 하면 오히려 업만 늘어난다. 업이 늘어날수록 그에 대한 응보를 받게 되니 그것은 바로 재앙과도 같다. 남을 원망하고 허물을 보는 것은 아직도 내 안에 분별 망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래의 마음을 단박에 깨닫는 돈교를 듣자마자 곧바로 내 마음 속의 망상과 분별을 부셔 버려야만 한다.


<일일 소견>

내 앞에 닥친 일에 대해 흥정하지 말고 아무 조건 없이 그냥 행할 수 있는 마음이 될 수 있기를…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