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보이차 한잔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1월31일

오늘의정진: 香象奔波失却威 (향상분파실각위) 향기로운 코끼리 분주하게 달아나 위엄을 잃게 되나

- 100일 정진, 37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서른 여섯번 째 구절은 

<獅子吼無畏說 , 百獸聞之皆腦裂 /사자후무외설 , 백수문지개뇌열

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 온갖 짐승들 들으면 모두 뇌가 찢어짐이라.> 였다. 

자각한 자의 사자후와도 같은 일갈에 듣는 이들의 고정관념은 모두 흩어져 버린다.

너무나도 당당하여 거칠 것이 없도다. 

 

오늘은 서른 일곱번 째 구절

香象奔波失却威 (향기 향, 코끼리 상, 달릴 분, 물결 파, 잃을 실, 물리칠 각, 위엄 위 )

향상분파실각위/ 향기로운 코끼리 분주하게 달아나 위엄을 잃게 되나

天龍寂聽生欣悅 (하늘 천, 용 용, 고요할 적, 들을 청, 날 생. 기쁠 흔, 기쁠 열)

천룡적청생흔열 / 천룡은 고요히 들으며 희열을 내는도다

 

붓다가 고타마 싯다르타로 태어나기전 어머니 마야 부인의 꿈에 흰 코끼리가 겨드랑이로 들어왔다는 태몽이 전해진다. 

그래서 코끼리는 불교에서 신성한 의미를 지녔다.

또한 인도의 힌두교에서는 코끼리 형상의 가네샤를 신으로 칭하는데 지혜와 행운의 상징이기도 하다. 

가네샤는 힌두교 3대신중 하나인 파괴의 신 시바의 아들이기도 하다. 


이처럼 코끼리는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서 압도적인 덩치와 힘, 그리고 지능까지 똑똑해서 사자나 호랑이 같은 맹수와는 차원이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실제로 성체 코끼리를 무력으로 이길 수 있는 동물은 지구상에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코뿔소나 하마, 악어 같은 동물들도 어쩌다 난동을 피우는 코끼리에게는 짓밟힘을 당할 뿐이다. 

그래서 코끼리는 범접할 수 없을 만큼 강하고 신성한 의미를 지고 있는 것이다. 


원래 코끼리라는 한자어 ‘상(象)’ 이라는 글자는 코끼리 형상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이다.

그런데 예전 중국에서는 실제로 코끼리 모습을 보고 글자를 본 뜬게 아니라 코끼리의 뼈를 보고 코끼리의 모습을 생각으로 상상해서 만든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래서 상상(想象) 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향상(香象)은 이러한 코끼리의 이미지에 향기로운 코끼리라는 상상을 더 추가했다. 

그러한 코끼리가 분주하게 난동을 피운다는 것이다. 

위엄을 갖추어야 할 코끼리가 난동을 피울 정도면 얼마나 소란스럽다는 뜻인가?

밟혀 죽을 수도 있고, 부딪히는 모든 것들이 박살이 나는 것이다. 

반면에 천룡은 고요히 들으며 희열을 느낀다고 한다.


향상도 천룡도 모두 상상속의 동물이다. 

향상은 위엄을 잃고 소란스럽고, 천룡은 고요하며 희열을 느낀다.

둘이 서로 대비가 된다. 

우리의 마음은 때때로 다스리지 못하면 코끼리가 난동을 피우는 것과 같이 분주하고 소란스럽다. 

그렇게 폭주하게 되면 그냥 모든 걸 아사리판으로  만들기도 한다.

마음도 그와 같다. 

호수 속 깊은 곳에 사는 이무기가 1000년을 수행하여 용으로 승천하게 되듯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천용은 그렇게 존재한다.

수행은 코끼리의 마음을 천용의 마음으로 변화 시켜야 되는 것이다.

마음은 때에 따라 향상이 되고 천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나의 한 생각에 향상이 되고 천용이 될 수도 있으니 마음을 잘 내야 한다.

마음을 잘 내는 것 그것이 바로 수행이요, 생활이다. 

 

<일일 소견>

본래 신성한 마음이지만 때때로 폭주하는 내 마음.

고요히 다스려 용이 여의주를 물고 하늘로 승천하듯 때를 기다려야 한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