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 1월21일
오늘의정진: 三身四智體中圓 (삼신사지체중원) 삼신과 사지는 본체 가운데 둥글고
- 100일 정진, 27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스물 여섯 번째 구절은
<無價珍用無盡, 利物應時從不吝 /무가진용무진, 이물응시종불인)
가치를 메길 수 없는 보배를 써도 다함이
없으니, 만물의 이로움에 응하며 때에 따라 아끼지 아니한다> 였다.
마음 속에 감추어진 무가진은 아무리 써도 줄어들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중생들에게 온갖 이익을 아낌없이 가져다 준다.
이러한 보물이 우리 모두에게 있으며 또한 자유자재하게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은 스물 일곱 번째 구절
三身四智體中圓 (석 삼, 몸 신, 넷 사, 지혜 지, 몸 체, 가운데 중, 둥글 원 )
삼신사지체중원 / 삼신과 사지는 본체 가운데 둥글고
八解六通心地印(여덟 팔, 풀 해, 여섯 육, 통할 통, 마음 심, 땅 지, 도장 인)
팔해육통심지인/ 팔해탈, 육신통은 심지(마음 자리)의 도장이다.
불교에서 삼신(三神)은 깨달은 부처의 몸이 3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부처의 몸이 단지 육신(肉身)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모습과 비슷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간단히 구분하면 부처의 몸은 우주의 차원에 따라 법신(法身), 보신(報神), 응신(應身)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찰에 가면 대웅전에 모셔진 부처님은 육신의 부처가 아니다.
하지만 불교 신자들은 법당의 부처님을 진짜 부처님이라 생각하며 절을 하거나 기도를 드린다.
분명히 법당에 계시는 불상은 단지 나무나 청동으로 만들어진 조형물에 불과할 뿐인데 불교 신자들은
기독교에서 흔히 말하는 우상(偶像)을 숭배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단하소불(丹霞燒佛) 이라는 선가(禪家)의 유명한 공안(公案)이 있다.
단하천연(丹霞天然 739~824) 이란 스님이 혜명사라는 절에 객승으로
머물게 된 적이 있었다.
그때는 추운 겨울날이었으나 혜명사에서 객승을
접대하는 원주스님은 단하스님이 머무는 곳에 불을 때 주지 않았다.
그런데 한 밤에 절의 법당쪽에서 불을 핀 연기가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원주스님은 무슨일 인가 싶어 법당을 향해 달려가 보니 법당 안에서는 단하스님이 법당안에 모셔져
있던 불상을 도끼로 쪼개어 토막을 내서 불을 지피고 있는 것이었다.
깜짝 놀란 원주스님은 도대체 이게 무슨 해괴한 짓이냐 면서 난리를 쳤다.
단하스님은 이때 전혀 기죽지 않고,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후 다비식(茶毘式) 을 치룬후 수 많은 사리를 얻으셨소. 그래서 내 여기 부처님도 태우면 사리가 나오는지 볼려고 했소' 답했다.
이에 원주 스님은 기가 막혀, '무슨 나무에서 사리가 나오는 거요? '하며 소리쳤다.
그러자 단하스님은 ' 아, 그럼 사리가 나오지 않으면 그냥 나무 토막이지 무슨 부처요? 날도 추운데 그럼 불이나 때면서 몸이나 녹이면 되겠구려' 하고 답했다고 한다.
부처의 몸은 고정된 형상이 있지 않다.
더구나 나무나 청동으로 부처의 모양을 본 떠 만든 불상이 진짜 부처가 아니다.
단하스님은 부처의 상(相)에 메이지 않았기에 부처를 도끼로 쪼개고 불로 태울 수 있었다.
진리의 모습, 즉 법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법신(法身)이요.
깨달음에 대한 결과의 모습, 즉 수 없이 많은 생을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이루게 된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보신(報身)이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모습, 즉 고통속에 빠진 수 많은 중생을 각각의 근기에 맞게 여러가지 다양한
화신(化身)으로 존재하는 것이 응신(應身)이다.
그렇다. 부처는 고정된 모습으로 있지 않다. 나의 마음도 고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삼신과 네가지 큰 지혜(四智), 모두 다 내 마음의 본체 가운데 있다는 것이다.
또한 팔해탈(八解脫)과 육신통(六神通) 과 같은 깨달음의 경지와 신통술도 내 마음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걸 심지인(心地印)으로 삼는 다고 했다.
심지인은 마음의 땅에 도장을 찍듯히 확실히 보증 한다는 것이다.
나의 본체 마음속에서 삼신의 부처가 현현하게 나투어 돌아간다.
그렇다면 우선은 내 마음 속의 본래 가지고 있는 불성을 믿어야 한다.
그럼 이제 단하선사가 불상을 도끼로 쪼개고 불로 태운 행위의 공안을 타파할 수 있는 실마리를 풀게 된다.
<일일 소견>
범소유상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즉견여래(凡所有相皆是虛妄,若見諸相非相卽見如來 )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하니, 만약 모든 형상이 있는 것이 형상이 아님을 볼 줄 알면 곧 여래를 보리라. <금강경 제 5분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