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라곤 「크레이지 아케이드」와 「메이플스토리」밖에 안 해본 내가, 웹툰이라곤 10년 전 「신의 탑」을 보다 만 내가, 애니라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밖에 모르는 내가, 『덕후 일기』라니? 저 아무것도 모르는데요? 그래도 실제로 게임을 하는 게 아니라 그것에 관한 글을 읽는 거니까 괜찮겠지 하며 프롤로그를 지나 첫 꼭지를 읽는데 이런, 방금의 합리화가 무색할 만큼 상당히 곤혹스러웠다. 아아, 나는 「포켓몬스터」조차도 제대로 본 적 없는 갓반인(?)인 것이었다···! 물론 이건 내가 지레 먹은 겁이었다. “진정성 있는 덕후”(13쪽)는 아니라고 거듭 주장하는 송승언은 그러나 매우 덕후스럽게(?), 간단하고 명료하나 속이 꽉 찬 설명을 곁들이며, 어떤 초심자라도 무리 없이 상상의 나래를 펼치도록 해주니까.
그는 이 책에 등장하는 현실 아닌 것들—게임, 웹툰, 애니, 영화 등—을 부러 현실과 연결하려 하지 않는다. 나는 그게 좋았다. 게임은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고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하면서 이러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정말 놀랍죠?가 아니라, 교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는 그저 그가 통과한 여러 비현실에 깃든 시간의 주름을 쫘르륵 펼쳐 보일 뿐이다. 게임과, 그 게임을 수행하는 ‘나’와, 그걸 바라보는 그냥 ‘나’라는 세 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도 빼놓지 않고 잘 굴려가면서. 권태를 느끼고, 분노하고, 질문하고, 자신의 답변을 내어놓고, 이것과 저것을 이어보고, 무엇을 변호하다가도 신랄하게 비판하고, 지극한 사랑을 표현하는 사람이 이 책에 있다.
어떤 작품에 관한 글을 읽고 있다 보니 당연히 그 실물(?)을 확인하고 싶어지지만 검색은 하나도 안 해봤다. 이러나 저러나 내가 그것을 즐기는 사람이 되지는 않을 것을 알아서. 그저 이 사람은 이런 작품을 보면서 영겁의 시간을 조금씩 죽이고 있구나, 근데 그걸 정말 잘 말하는구나 부럽다, “무용한 것을 위한 노력”이라고 말하지만 이렇게 잘 쓰인 글을 보고 있자니 더없이 “신성한 취미”(231쪽)임을 부정하기 어려워지네, 이런 생각을 할뿐이다. 어렸을 때 남들 다 보는 만화영화도 안 보고 게임도 안 하고 뭐하고 살았나 회의감이 살짝 들 때면, 나는 지금 이것을 읽고 있음을 상기하고자 한다. 뭐든 ‘읽으며’ 살아온 나는 이제 글로 애니와 게임을 하고 있다고.
그렇네, 앞으로도 읽는 사람으로 남을 나는 이렇게 시간을 죽이고 있다. 그리고 그 시간은 전부 살아있음을 향한 순간들임을 송승언의 글을 읽으며 깨닫는다. 그러니 당신도 당신의 방식대로 시간을 죽여본 적 있다면, 『덕후 일기—시간 죽이기』 읽자 여러분. 여기 삶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