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
‘사회적다윈주의 Social Darwinism‘- P103
사람이 태어난 이유는 인생을 즐기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P104
사회적 다윈주의와 이효리, 그리고 <킹스맨>- P105
"뭘 홀륭한 사람이 돼, 그냥 아무나 돼- P108
유대인 ‘제거되어야 할 불필요한 종족‘- P109
조너선 하이트가 설명하는 보수와 진보- P111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존딜런 하인즈 박사 연구팀- P113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인가 이성적인 존재인가- P115
보수 인간과 인간성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다소 비관적- P117
진보 인간과 인간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낙관적- P118
계급에 대한 분노와 이기적인 욕망이 힘을 합친 결과- P120
변화를 추구하는 용기, <죽은 시인의 사회>- P126
‘네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해라. 하지만 그것을 위해 목숨까지 버리면 안 된다‘ - P128
나는 보수입니다. 시장경제를 옹호합니다.- P131
나는 진보입니다. 시장경제의 효율성은 인정합니다.- P132
혁신의 가치 + 시장경제의 장점 = <머니볼>- P133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 P134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희생, <설국열차>- P140
보수와 진보의 아름다운 존중, <두 교황>- P143
"가장 전통을 중시한 교황이 가장 전통적이지 않은 선택을, 그것도 신념이 다른 개혁파에게 권력을 넘기는 선택을 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P144
"누구의 잘못도 아니라면 모두의 잘못이다."- P145
3부
혐오와 배척이 아닌 화합과 연대를 위해- P147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남은 것이 순자산- P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