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2
추억의 책장을 넘기면
  • 안목
  • 김종수
  • 16,200원 (10%900)
  • 2025-01-25
  • : 305

문화유산도 일종의 예술작품이라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데 작품들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르기는 결코 쉽지 않다. 사실 이 책과 같은 제목의 유홍준 교수의 책을 구입하고도 아직 

읽지 못하고 있는 상태여서 또 다른 문화유산 전문가인 저자의 이 책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궁금했다. 이 책에선 총 3부로 나눠 우리 역사와 문화유산에 얽힌 다양한 흥미로운 얘기들을 들려주는데

1부에선 신라와 관련한 문화유산과 얘기들을, 2부에선 백제와 관련된 문화유산과 얘기들을, 3부에선

주로 조선시대 인물들에 얽힌 얘기들을 들려준다.


먼저 1부 신라편에선 신라가 불교를 수용하던 과정에 핵심 역할을 했던 이차돈의 순교로 시작한다.

서산과 태안의 마애불과 비교하며 경주 남산의 마애불의 미소를 살펴보고 남산 칠불암과 지금은 소실된

황룡사 9층 목탑에 얽힌 사연을 들려준다. 황복사지에서 출토된 국보 제79호와 제80호 불상은 국립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에서 봤는데 아버지 신문왕과 아들 효소왕의 모습이란 건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고, 우리의 대표 문화유산 중 하나인 석굴암의 천개석이 세 갈래로 금이 가 있는 것도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 그에 얽힌 흥미진진한 미스터리에 대한 나름의 대답도 얻었다. 포석정과 관련해선 

경애왕이 연회를 즐기다 견훤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배웠던 것 같은데 시간차가 있는 사건들을 망국의

책임을 경애왕에게 묻기 위해 하나로 엮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역사 속 미스터리 풀이는 백제편에서

계속되는데 백제의 익산 천도설이나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의 진실에 대해 나름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한다. 특히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는 삼국통일 후 백제계 사람들을 위무하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신라와 백제가 가장 평화로웠던 시절을 배경으로 한 왕족간 로맨스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았다. 백제의

마지막왕 의자왕이 일본에 전해준 선물에 얽힌 이야기로 마무리한다. 3부에선 정약용을 필두로 여러

인물들과 관련된 문화유산들을 소개하는데 역시 잘 몰랐던 새로운 얘기들이 적지 않았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역시 문화유산은 이야기와 함께 설명이 되어야 기억에도 오래 남고 더 관심과 사랑을 가지게 됨을

새삼 느꼈는데 여러 문화유산들에 얽힌 흥미로운 얘기들은 물론 새로운 관점들도 알게 되어 안목을

한층 더 키울 수 있게 된 것 같다.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