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주식회사에서는 민주주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인도무역회사를 만들 때 한 사람이 5,000만 원을 내고 나머지 다섯명이 1,000만 원씩 투자해 자본금 1억 원을 마련했다고 해 보죠. 이때이들 여섯 명이 모두 동등한 권리를 가질까요? 아닙니다. 주식회사에서는 한 명당 한 표씩이 아니라 돈을 더 많이 낸 사람이 더 많은 투표권을 갖게 됩니다.
이 같은 방식을 1원 1표의 원칙‘이라고 부릅니다. 1원을 냈으면 1표,
10원을 냈으면 10표, 1억 원을 냈으면 1억 표를 갖는 식입니다. 즉 주식회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평등한 민주주의 원칙과 달리 돈을 더 많이 낸 사람이 더 많은 권리와 영향력을 갖는, 민주주의와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어떤 투자가 정답인가요?"라고 묻는다면 답하기가 정말 곤란합니다. 투자에는 정답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이 있습니다. 투자는 위험과의 싸움입니다. 성공한 투자자 대부분은 위험을줄이는 데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치주 투자자라면 위험을 줄이기 위해 투자하는 종목에 대해 최대한 깊이 공부해야 합니다. 성장주 투자자라면 한두 종목을 맹신하않고 최대한 분산해서 투자한 다음, 예상 외로 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거나 주가가 떨어지면 미련 두지 말고 그 종목을 떠나 최대한 손실을 줄여야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