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도담서림(道談書林)

  시를 생각하지 말자. 그냥 제목만 생각하자. 우리는 지금 겨울을 나고 있다. 봄을 기다리면서. 그런데 우리에게 다가올 이다음 봄은 어떤 모습일까?


  만물이 생동하는 봄답게 우리들도 생기 넘치는 삶을 살 수 있을까? 우리 사회에 봄이 올까? 봄이 오도록 가로막고 있는 존재들에게, 이제 겨울은 갔다고, 봄의 시대라고, 자리를 비키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그렇게 '자유'롭게 말할 수 있을까? 어떤 폭력의 위협을 받지 않고. 겨울처럼 혹독한 시련을 겪지 않고, 봄답게 만물이 하나둘 언 땅을 뚫고 나올 수 있는 봄을 맞이할 수 있을까?


의문형으로 끝나는 문장이 아니라, 평서형으로 끝나는 문장을 쓰고 싶다. 우리는 봄다운 봄을 맞이한다 정도의 문장. 생기 넘치는 말들이 넘치는, 거기에 폭력은 끼어들 틈이 없는 그런 봄을.


유희경 시집을 읽다. 제목이 참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그런데 시집에 실린 시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하긴 한번에 쉽게 이해되면 시가 아니지 하는 생각을 하면서도, 어렵다.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다. 이런 말을 해야 한다.


시집을 읽으면서 아직도 봄이 오지 않았음을 생각한다. 봄이 와야 하는데... 제목이 된 시를 보면 더더욱 봄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봄이 아니다. 이런 봄이 아니어야 하는데... 시집을 읽으면, 제목이 된 구절이 두 번 나온다. 하나는 시로, 또 하나는 부록에서.


부록에서 시인은 '이다음 봄에 우리는, / 어떻게 되는 걸까요.'(139쪽)라고 하고 있다. 묻고 있다. 무언가 앞 구절을 보면 시인은 봄에 무언가를 하려고 한다. 봄은 닫히지 않고 열린 존재다. 열려야 한다. 그래서 시인은 '남은 일은 문을 열고 나서는 것.'(139쪽)이라고 한다.


우리에게도 봄은 이렇게 문을 열고 나서는 때가 되어야 한다. 그런 봄을 우리는 맞이해야 한다. 제목이 된 시의 끝부분에서는 '이다음 봄에 우리는 어느 무덤에서 울어야 할까요.'(65쪽)라고 하고 있지만... 해석을 할 수가 없다. 그냥 읽자.


이다음 봄에 우리는


  살해(殺害)의 꿈을 꾸었습니다 아무도 모르게 새들이 날아오르고 그들의 검은 깃털이 폭설처럼 쏟아졌습니다 그중 하나를 주머니에 감추고 돌아오는 길에는 이야기를 버렸습니다 새들이 쪼아먹기를 아무도 쫓아오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쫓기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빌어먹을, 당신이 있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당신이 있었습니다 다음은 이어지지 않습니다 나는 이야기를 버렸으니까요 당신이 나를 꼭 안아주거나 내가 당신을 밀쳐내거나 둘이 손을 잡고 도망가는 일 따위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봄엔 당신이 나의 꿈을 꾸었지요 당신이 말해준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함께 계단을 따라 내려갔고 계단 끝에는 버려진 집들이 있었습니다 저녁이 되었고 우리는 숨바꼭질을 했었어요 당신이 나를 찾을 차례에 밤이 되었고 당신은 나를 너무 사랑해서


  그것도 살해입니다 당신은 말해주지 않았지만 그때에도 새들이 날아오르고 한가득 날리던 검은 깃털들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했습니까 당신은 이야기를 어디에 유기했던가요 차라리 분실했습니까 왜 말이 없나요 내가 버린 이야기 때문인가요


  깃털은 잠든 사람의 눈썹을 닮았습니다 하염없이 나는 그것을 만지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없는 세계에서 당신이 사랑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런 것입니다. 날것의 생애가 음악이 될 때 그래요 당신은 아무 말도 하지 마세요 이것은 나의 살해, 꿈이니까요


  이다음 봄에 우리는 어느 무덤에서 울어야 할까요


유희경, 이다음 봄에 우리는. 아침달. 2023년 1판 5쇄. 64-65쪽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