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5
도담서림(道談書林)
  •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 홍세화.이송희일
  • 15,300원 (10%850)
  • 2022-02-25
  • : 541

올해 세상을 떠난 홍세화 선생과 이송희일 영화감독이 만나 대담을 한 책이다. 총 여섯 번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하는데,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논의를 했다. 두 사람 모두 진보라고 할 수 있으니,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진보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때 말하는 진보는 정치권을 진보와 보수로 나눌 때 쓰는 말과는 좀 다르다. 두 사람 모두 우리나라에서 진보 쪽이라고 불리는 민주당을 진보라고 하지 않으니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이 책을 읽어야 한다.


탈성장, 차별과 혐오, 죽음의 행렬, 한국 진보정치, 교육, 언론을 주제로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이야기를 읽어갈수록 마음은 답답해졌다.


이 책이 나온 것이 2022년인데 그동안 홍세화 선생은 돌아가셨고, 코로나는 끝났으며, 이 책에서 언급한 윤석열이 대통령이 되어 우리나라 정치를 몇십 년 뒤로 돌려버리고 만 사건까지 일어났으니...


이들이 다룬 내용에서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즉 진보하지 않고 오히려 퇴보하고 만 현실에 씁쓸한 마음을 거둘 수가 없다.


홍세화 선생이 한 이 말이 여전히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지 않나 한다. 비상 시국에 나돈 말들이 다 이런 선동의 말이지 않나 싶었으니 말이다.


'저는 한국 사회가 선동은 가능하지만 설득은 무척 어려운 사회라고 봅니다.' (227쪽)


설득을 하려면 우선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지녀야 한다. 자신을 객관화 하고, 다른 사람도 역시 객관화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설득을 하기 전에 자기 주장만을 펼치는 선동을 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가 교육을 통해서 설득을 하는 방법을 배운 적이 있는가? 교육은 오히려 일방적인 생각을 주입받는 형식으로 진행되어 오지 않았던가. 자신의 생각을 쓰는 것이 아니라 정답이라고 여기는 것들을 찾아 써야 하는 그런 형식. 


이런 교육을 받으면서 자라 어른이 되면 자연스레 내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그것도 힘을 지니고 있는 사람의 답을 찾고, 그것을 받아들여 남에게 강요하는 형태로 결정되지 않을까 한다.


이것이 바로 선동이 난무하는 사회다. 교육과 마찬가지로 언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우리나라 언론이 그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동의할 것이다. 오죽하면 '기레기'라는 말이 나왔겠는가.


이런 기레기라는 오명을 벗으려면 언론이 진실을 보도해야 하는데, 진실을 보도하기 위해서는 선동이 아닌 설득이 필요하다. 자신들에 대한 비난도 참고 견디면서 다른 사람들을 진실에 다가가게 설득하는 일, 그것이 언론이 할 일인데... 언론이 이 역할을 하지 못하면 사회는 그야말로 선동에 휩싸이게 된다. 이 선동에 의해 진실은 가려지고, 설득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따라서 두 사람의 대담에서 우리나라 정치 지형을 진보와 보수로 규정하지 않고, 홍세화는 이렇게 규정한다.


'우리는 두 정치세력에 포박당해 있는데, 하나는 '하면 안 되는 행위를 주로 저지르는 정치세력'이고, 다른 하나는 '해야 할 일을 거의 하지 않는 정치세력'이라는 생각이요.'(324쪽)


'하면 안 되는 행위를 주로 저지른 정치세력'이 어느 정당인지는 이 책을 읽어보지 않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지금 우리나라를 좌지우지하고 있는 정당은 달랑 둘이다. 원내 교섭단체를 결성할 수 있는 정당이 둘이니... 둘 중 하나겠지. 그러면 나머지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정치세력'이 어느 정당인지도 알 수 있다.


꼭 이 구분이 옳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타당한 구분이다. 진보와 보수로 구분하는 것보다는 현실에 더 다가간 구분이라는 생각도 들고.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여전히 하루에도 몇 명씩 노동자들이 죽어가고 있는 이 사회에서, 차별과 혐오 표현이 스스럼 없이 발화되고 있는 이 현실에서, 성장 성장, 오로지 경제 성장이 목표라는 듯이 성장우선주의를 외치고 있는 이 사회에서 이 현실을 다른 쪽으로 돌리려는 정당이 바로 진보 정당이다. 그런 진보 정당이 있는가? 질문을 해야 한다.


진보 정치에 대한 대담이 이 책에 실려 있는데, 아마 읽기 불편한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양 거대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들의 대담이 쓴 약이 아니라 헛소리, 구름 따먹는 소리로 들릴 수도 있을테니 말이다. 그렇지만 정치란 무엇인가? 나하고 생각이 같은 사람들하고만 하는 것이 정치가 아니다. 나와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 정치다. 누구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할지 명확하지 않은가. 바로 자신과 다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것이 정치의 본질이다.


이때 다른 사람들을 다른 정당 사람들이라고 해도 좋다. 꼭 정당 사람이 아니어도 된다. 시민들, 다양한 의견을 가진 시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런 다음에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에 맞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대의민주주의다.


공론장을 형성하고, 공공성을 추구하는 의견을 따르는 것, 대의란 바로 이것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런데 시민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그것을 포퓰리즘이라고 폄하하면서, 오히려 자신의 의견만을 밀어붙이는 정치인, 그들을 소환할 방법이 없다. 시민들의 뜻과 다른 정치를 하는 정치인을 소환할 수 없는데 어떻게 '대의 민주주의'가 되지? 우리들 의견을 대신하지 않고 제 의견만 고집하는 정치인을 견제할 수 없다면, 그것은 공론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공공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사회가 될 뿐이다. 대의 민주주의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이 책에서 홍세화 선생이 말한 '국민은 자기 수준의 정부를 가진다.'(327쪽. 19세기 반동적 보수주의자 조제프 드 매스트르가 한 말이라고 한다)는 말, 명심해야 한다. 


즉 국민이 정부를 견제하고 견인할 수 있는 사회가 되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정부가 하는 대로 자신들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은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말...


제대로 국민의 뜻을 대의할 수 있는 정부, 그런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다. 이 대담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데, 특히 내가 지니고 있었던 관점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해준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많은 생각들, 그 생각들이 부딪히고 부딪쳐 서로의 생각을 모아가는 과정, 그것이 공론장의 형성이고, 이러한 공론장은 공공성을 실현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지금은 이런 공론장을 만들어야 할 때다. 두 사람의 대담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