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이라는 책이 있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100명으로 축소해놓고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분류를 한 책이었다. 이렇게 축소를 해 놓고 보면 우리 세계의 분포를 쉽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는데...
배명훈의 [타워]는 오래 전에 나온 소설이다. 2009년에 출간이 되었는데, 2020년에 새로운 신판이 나왔다. 나는 구판으로 읽었지만, 목차를 살펴보니 달라진 것이 없으니, 구할 수 있는 책으로 읽으면 될 듯하다. 물론 내용을 개작했는지는 살펴보지 못했다. 최인훈 작가 같은 경우는 [광장]을 수차례 개작했는데...
개작 여부를 떠나서 구판을 읽어도 지금 현실을 대입할 수가 있다. 이럴 수가.. 이 소설집이 SF소설로 분류가 되니, 다른 세상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소설이 시대를 넘어 계속 우리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6편의 단편소설이 묶여 있다. 다 '빈스토크'라는 타워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빈스토크가 무엇인가? [잭과 콩나무]에 나오는 하늘까지 솟은 콩줄기에서 따온 이름으로, 674층 높이에 50만 인구가 모여 살고 있다고 한다.
이 타워에 대한 설명을 좀더 보자.
첫작품인 '동원 박사 세 사람-개를 포함한 경우'에 나오는데, '1층부터 12층까지는 층 구분이 없는 커다란 정원이었다. 그 위로는 백화점이나 쇼핑몰, 영화관 같은 상업 시설이 21층까지 이어졌는데 거기까지는 외국인도 누구나 출입할 수 있는 중간지대이면서 또한 비무장지대였다. 그리고 22층에서 25층까지가 경비실 구역이었는데 말하자면 빈스토크 육군 이천이백 명 중 이천여 명이 주둔한 국경지대인 동시에 여섯 개의 출입국 사무소가 위치한 곳이기도 했다.'(30쪽)라고 설명이 된다.
26층부터 여러 시설들이 있는데, 각 층이 수평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없고, 다양한 높낮이로 건설되어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꼭대기층까지 한 번에 올라갈 수는 없다고 한다. 수직과 수평이 교차하면서 연결이 되니, 각 층은 빈스토크라는 한 국가에 속한 지역들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니 이 [타워]에는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모든 것들이 축소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 중에서 사람들의 삶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정치와 노동, 사상이 이 소설에 나타나고 있는데...
권력의 위선, 노동자들의 힘든 삶, 윗사람들이 시키는 대로 기계적으로 일하는 중간 관리자들의 모습, 시위와 시위를 진압하는 사람들, 다른 나라와의 전쟁 또는 갈등, 비정규직 문제 등등이 이 이 [타워]에 잘 드러나고 있다.
이 소설 [타워]는 우리 사회를 한 건물로 축소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읽으면서 우리 현실을 계속 반추하게 되는데, 꼭 우리나라만이 아니라도 이 지구를 축소해놓은 모습까지도 발견하게 되니, 특히 '서리아에 부합하는'이라는 소설이 그렇다.
지금까지도 종교로 인한 분쟁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고, 종교가 아니더라도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곳이 있으며, 비정규직들은 죽음조차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이 나라에서 저 나라로 이주해 가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도 만만치 않으니, 이 소설을 읽으면서 그런 점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그럼에도 [타워]에는 사랑이 사라지지 않는다. 사람과 사람이 아무리 힘든 상황이라도 사랑으로, 상대에 대한 인정, 존중으로 함께하고 있음을 이 소설집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데... 자살폭탄테러를 연상하게 하는 '샤리아에 부합하는'이라는 소설에서도 이 사랑은 사람을 살리는 쪽으로 작동을 한다.
마찬가지로 자본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도 인간의 사랑이 서로를 결속시켜주고 결국 삶을 지속하게 해줄 수 있음을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에서도, '엘리베이터 기동연습'에서도 만나게 된다.
그렇다.'빈스토크'처럼 외부와 차단된 건물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서로가 서로에게 온기가 되어주고 있음을, 그것이 그들을 무너져버린 바벨탑이 아닌 계속 살아가게 하는 힘임을 이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
이 빈스토크를 우리나라로, 또 지구로 확장을 하자. 확장을 한다면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권력? 돈? 아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조금이라도 자신의 온기를 나누어주는 삶. 그런 자세들이다. 그것이 우리를 이곳에서 계속 살아가게 한다.
삭막할 것만 같았던 [타워]의 삶이 따스한 인간의 온기를 느끼게 해주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랑이다. 사랑은 별 것 아니다. 자신의 온기를 남에게 조금 나누어주는 것. 아니 자신의 온기와 다른 사람의 온기가 함께하는 것, 바로 그것이다.
이 온기를 나눌 줄 모르는 사람, 그런 사람이 권력의 정점에 서는 사회는 얼마나 문제가 많은지, 우리는 소설을 통해서가 아니라 현실에서 이미 경험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니 서로의 온기를 나누는 사회, 그것이 사랑이고 자비, 인(仁)이 아니겠는가.
SF소설이라는 이 [타워]를 통해, 아니 소설 속 '빈스토크' 사람들을 통해 이 온기를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부록에 실린 '엘리베이터 기동연습'에 나오는 책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는, '카페 빈스토킹-[520층 연구] 서문 중에서'를 꼭 읽자.
온기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우리는 그런 장소를 갖고 있는지, 그런 장소의 상실이 우리를 온기 잃은 인간으로, 즉 삭막한 인간으로 만들어내고 있음을 명심하자. 이건 소설이지만 소설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