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책친놈의 서재
















날이 갈 수록 모임에 대한 갈증이 생긴다. 이책을 읽으니 더 강해졌다.

나와 모든 것이 맞는 곳이 어디 있겠나. 마음에 안 들면 모임을 차려야지..

하지만 아직 모임장이라는 귀찮음을 감수하고 싶을 정도는 아니다.


그래서 이책을 읽고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임을 구상해봤다.


1. 소수의 인원으로 꾸준히 나올 사람이 많으면 좋겠다. 

(정원 7~8명 정도, 매주 4~ 5명 정도 모일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을듯)

이 책에서는 정원 10명 미만, 한번모일때 최대 7명으로 말한다. 나는 조금 더 작아도 된다 생각한다. 모임을 하면서 굳이 다수의 인원이 필요함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적은 인원이 상대방의 대화에 귀 기울이기 더 쉬웠다. 꾸준히 나왔으면 좋겠는 이유는. 처음보는 사람이면 대화가 조심스럽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책이라 참여 했다는 사람한테 이 책 별로라는 말을 대놓고 못하겠었..)


2. 나와 책 선정을 같이해줄. 발제 준비를 같이해줄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혼자하려니 벅차다. 책이나 발제가 모임하기에 괜찮을지 같이 고민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7~8 명이라는 인원이면 모임원들이 다같이 고민 가능할듯 싶어 그것도 괜찮을듯 싶다.


3. 필수 조건, 완독

다 안 읽고와서 딴소리 하는사람 있으면 김빠진다. 실제로 있었고.

매 주마다 읽는게 부담이라면 차라리 읽을 책의 두께를 줄이면 된다. 

중단편이나. 벽돌책을 쪼개 읽는다던지. 완독하지 않고 오는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4.책을 읽어야 답할 수 있는 발제, 책의 핵심 주제에 관한 논쟁 위주.

책을 읽지 않고도 답할 수 있는 발제도 물론 재미있다. 그런 질문을 넣지 말자는게 아니다.

안 읽어도 할 수 있는 대화 위주로 모임이 계속 된다면 책을 읽고 올 필요가 없다고 본다.


5.책 선정계획 (한달을 4주 기준으로 한다면)

1주차 신간 베스트셀러

(고전은 읽었던, 모임을 했던 책 일수도 있으니 달마다 신간도서 1권쯤은 넣어보면 좋을것같다.)

2주차 고전, 세계문학 시리즈

( 검증되어 있으니 선정하기 쉽고 , 대화할 주제도 많다고 느낀다. 고전 1권쯤은 매달 해보고싶다.)

3주차 [다양한 장르의 책] 경제,과학,역사,예술, 장르문학 (SF,스릴러, 추리소설 등)

(1,2주차에 하지 않았던 책으로 다양하게 해보고 싶다. 다양한 책을 읽고 편식을 고쳐보기에  좋을것같다. 여름에는 스릴러, 공포소설 쪽으로 해봐도 좋을듯 싶고.)

4주차 [영화 또는 자유도서 모임, 그 외 활동등] 영화토론, 자유도서 모임, 가끔 간단한 피크닉, 보드게임 등.

(매 주마다 1권은 부담 될 수 있으니, 영화나. 분기에 한번은 읽은 책 순위나 별점공유 등, 피크닉이나 보드게임등으로 쉬어간다던지.)



써놓고 보니 참 하고 싶은게 많다. 내가 술을 잘 안먹으니 이왕 술 잘 안먹는 사람들이 모이면 참 좋겠다 싶기도 하고.. 책 좋아하는 지인이 많다면 이런 모임만들고 싶다 ㅠㅠ 모르는사람을 모을 자신이 없긴하다. 그래서 모임장까지 하고싶지는 않고.... 누가 이런모임 만들어주면 좋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