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jkm3462님의 서재
  • 벌거벗은 동물사
  • 이종식
  • 13,500원 (10%750)
  • 2024-06-21
  • : 781

<도심 유업의 발달> 뉴욕시를 향한 이촌향도는 18세기 말에 본격화되었다. 도시화 초창기에 농촌 고향을 떠나 뉴욕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대개 젖소나 돼지,당나귀 등을 데리고 들어왔다. 1820년도까지 뉴욕에서 풀을 뜯는 젖소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뉴요커들의 인식 속에서 자급자족하는 물건들은 시장에서 사오는 물건들보다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농축산물도 말 그대로 ‘상품’이 되었다. 한편, 우유라는 상품이 수요가 존재하는 한, 일반 가정의 자급자족이 줄어드는 만큼 공급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전문적으로 우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사람들이 뉴욕시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그중에서도 자본주의적 성향이 강한 몇몇은 미국의 “공장”을 모티브로 삼았다. 하지만 모든 뉴욕 사람들이 이를 반긴 것은 아니었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시민들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자연스럽게’ 생산된 신선유와 공장식으로 생산된 둘 중 유통비를 감안하더라도 농촌산 신선유를 고집하는 경행이 있었다. 다만 도시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중하층 계급은 저렴한 ‘공산품’을 선호하였다. 부유한 그들은 가난한 계층 때문에 도시에 냄새나고 더러운 혐오 시설이 무차별적으로 난무하는 사태를 용인하고 싶지 않아 했다. 어쨌든 뉴욕 시민들의 우유에 대한 수요는 증가했다. 사실 19세기 초반까지 우유를 즐겨먹지 않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엽 이후로 인식이 변해갔다. 영양학적으로 우유를 포함한 식단이 건강하다는 담론이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 더 주요한 요인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다. 모유대신 우유를 사 먹여야 한다는 사람들이 증가한다는 의미였다. 우유 수요 증가에 대비해 유업 종사자들은 효율적으로 생산량을 늘리려고 하였다. 그렇게 젖소들은 양조장 옆으로 옮겨졌다. 우유 생산업자들의 노림수는 양조장에서 배출되는 담금액이었다. (담금액: 위스키나 맥주를 주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만들어지는 알콜성 액체이다.) 원래 담금액은 그냥 버리는 것이었지만 그 안에는 나름대로의 영양소가 있었다. 그렇게 사업 전략은 먹혀들었고 도시 공장식 유업은 비용은 낮추고 규모는 늘릴수 있었다. 덕분에 도시산 우유는 신선유라는 대체제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었다. 도시 공장식 유업은 그냥 얻어진 성공이 아니었다. 젖소의 학대를 수반했다. 젖소는 담금액을 먹기 싫어했다. 그러자 강압적인 방법으로 우유를 착취했다. 염도를 높인 건사료를 주고 물을 주지 않았다. 때문에 젖소들은 억지로 담금액을 목구멍으로 넘겼다. 이 뿐만이 아니다. 1m도 안되는 공간에 방치된 젖소들은 다리를 가누지 못하게 되어 자신의 배설물위로 자빠졌다. 하지만 인간들은 외양간 천장에 도르래를 설치했다. 그렇게 사지가 축처지고 도르래에 매달려진 젖소는 무기력하게 젖을 헌납하게 되었다. 이를 알게된 종교인들은 반대 행동에 나섰다. 도시 공장식 유업 업자들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부분적으로 젖소에 대한 처우를 개선한다던지,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팩트 체크’ 식 대응을 전개해 소비자들을 붙잡으려 했다. 도농갈등, 계급갈등, 종교적 이슈가 뒤섞인 뉴욕 도심 유업 논쟁은 1860년대 초 의사들의 참전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그때는 마사 사망 사건 (마사 사망사건: 모유가 아닌 소의 젖을 먹으며 자라던 마사라는 아이가 사망하고 이와 비슷한 증상을 겪다 사망한 영유아가 많아진 일) 이 터질 즈음이었다. 의사들은 과학적으로 어떻게 영유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는지 강조했다. 계급과 종교를 불문하고 부모들은 자녀의 건강은 양보할 수 없었고 힘의 추는 농촌산 신선유로 기울어졌다. 그렇게 점점 도시 공장식 유업은 사라져갔다. 하지만 몇몇 도시 공장들은 어떻게든 살아남아 뉴욕시 바깥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는데 성공했다. 이들은 여전히 담금액을 사용했고 건강하지 못한 우유를 대량생산했다. 이들의 우유는 농촌산 신선유로 둔갑해 뉴욕 시민들의 식탁으로 올려졌다. 참고 도서: 벌거벗은 동물사 요약: 1. 뉴욕에서 자급자족하는 사람들이 줄자 줄어든 공급을 채워주기 위한 공장식 유업이 시작되었다. 2. 뉴욕의 뷰유한 일부는 이를 꺼려했지만 가격 부담으로 인해 공장식 유업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 3. 더욱더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 공장식 유업은 젖소를 학대하여 우유를 착취하였고 이는 종교계의 반대 운동까지 이어졌다. 4. 마사 사망 사건으로 인해 의사들이 나섰고 부모들은 농촌산 신선유를 선호하게 되며 도시 공장식 유업은 사라져갔다. 나의 의견: 예전에는 젖소를 가둬놓고 우유를 생산하는 공장식 유업에 대해 ‘젖소는 목초지에서 풀을 뜯어 먹어야 하는 동물인데’ 라는 윤리적인 의식만 가지고 반대를 했었는데 영양상의 문제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싸구려 우유가 농촌산 신선유로 둔갑하였다는 것을 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중인 목장에서는 그런일이 없는지 찾아보고 싶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