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edu2000님의 서재
[ 알라딘 eBook ]칸트의 『판단력비판』 읽기 - 김광명
이와 관련하여 칸트가 제기한 미적 쾌란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쾌’3로서 보편적으로 소통 가능한 심성 상태에 근거한다. 이는 구상력構想力과 오성悟性의 인식 능력이 자유롭게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서 나온다. 또한 취미 판단의 주관적 원리인 공통감共通感의 이론은 전달 가능성의 문제로 이어지는바, 말하자면 오늘날 공감과 소통을 전제로 하는 의사소통 이론의 모범이 된다고 하겠다. 미의 완성을 통해 도덕으로의 이행을 강조하는 칸트의 주장은, 물론 이론이성에 대한 실천이성의 우위와도 관련되지만, 무엇보다도 인간 심성의 고양을 전제로 한 미의 파악에 있다.

-알라딘 eBook <칸트의 『판단력비판』 읽기> (김광명) 중에서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