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달사르
  • 탄하  2013-03-25 13:05  좋아요  l (0)
  • ...중국 지도가 나온다. -> '지도'에 흥분하실거라는 분홍신의 예측.
    앗. 내가 좋아하는 지도! -> 것봐..흥분하시잖아? ^^
    일단 캡쳐부터 해놓고 본다. -> 허억, 캡쳐까지! 완전 홀딱 반하셨군..ㅋㅋㅋ

    페이퍼가 거의 프레젠테이션 수준입니다.
    지도가 나와서 그런가? 무슨 해외 진출 전략계획 같은..^^

    정말 대단한 우물이네요.
    살아가려는 의지가 대단해서 겠죠?
    저걸 세 받아 돈벌려는 사람이 아니라 국가에서 만들어야 하는 건데.
    흠..예나 지금이나 아쉽네요. 국가도, 부자도..
  • 달사르  2013-03-25 14:47  좋아요  l (0)
  • ㅋㅋㅋ. 제가 자료 준비 하고 있는 영역이라서, 좀 있어 보이지여? ㅋㄷㅋㄷ

    난주 저기는 다 가 볼 지역들이라서, 미리부터 꼼꼼히 준비하는 중이야요.
    저 우물(카레즈)는 지금은 나라에서 관리를 하나봐요. 중국 정부에서 관리하나? 암튼..

    지도가 나올 때, 한눈에 싹 보이니, 그간 내가 헛공부한 게 아니었쓰..뿌듯..이럼서
    더 좋아했어염. ^^
  • 아이리시스  2013-04-26 16:04  좋아요  l (0)
  • 이거예요. 달사르님께 담에 기회되면 여쭤봐다겠다, 했던 거.
    지형, 지도, 여행, 문화, 실크로드 중에 뭐가 관심사일까, 궁금했어요.

    저는 척봐서 어디가 어딘지, 뭐가 뭔지도 모르겠지만, 뭔가 예사롭지 않아요.ㅋㄷㅋㄷ
    사소한 관심 아니고, 신기해서도 아니고, 저도 간혹 저런데 꽂혀서 빠져들고 그러거든요.
    예전 시리아처럼..(^^)
  • 달사르  2013-04-28 13:22  좋아요  l (0)
  • 그렇네요? 아이리시스님 궁금점을 듣고 나니, 저도 제 관심사가 뭘지 궁금해요! ^^
    이렇게 궁금하게 생각해주시니 괜히 기분이 좋습니다요. 힛.

    맨처음에 실크로드에 관심가질 땐 나중에 여행갈 곳, 으로 정했기 때문이구요. 당장 가지는 못하기에 갈 때까지 준비라고 해놓자, 그 지역에 대한 역사나 지리 공부도 미리 좀 해놓고..라는 이유가 있었구요. 언젠가 지인이 보내준 사막의 밤하늘 사진은 눈이 시릴 정도로 좋아서 사진 만으로도 무척 행복했었지요.

    외국 소설책 읽을 때 그네들이 무심결에 쓰는 단어들 중에 지명, 강이름 등이 종종 나와요. 도나우 강을 가로지르는 어쩌구..라든지..참, 만화 노랫말 중에도 이런 거 있잖아요? 유유히 흐르는 미시시피강~~ 이런 것들이 나오면 대략적인 지형지물이 그려져야지 다음번 글을 읽을 수 있겠더라구요.

    막연히 상상으로도 가능하지만 그건 저자가 강에 대해 이런저런 설명을 해줄 때 이야기구요. 그렇지 않고 기존의 강 같은 경우는 사실 별 설명을 안 하잖아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음이 답답해 한강에 나가서 바람을 쐬었다. 한강변을 따라 걸었다. 등을 적어놓으면 한강변을 거닐어본 사람은 그 느낌을 알잖아요. 그렇지 않고 시골에 사는 사람이라도 한강을 거닐어보지는 않았지만 테레비젼에서라든지 어쨌든 눈이나 귀로 접해본 경험이 있어서 생소한 이야기는 아니거든요.

    근데 외국의 경우는 역사도 몰라, 지형지물도 몰라, 감수성도 약간은 달라, 가치관도 조금 달라, 이런 상황에서 소설을 읽다보면 미묘한 지점을 상당히 많이 놓치게 되거든요. 특히 강 이야기 나올 때는 사람이 조금 감수성에 젖는데 그런 부분을 놏치기가 아깝더라구요.

    그리고 여행의 경우도 마찬가지. 소설에서 주인공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우수리스크로 갔다..라고 적어놓으면 이게 동으로 간건지, 서로 간건지, 더 추운데로 간건지, 따뜻한 데로 간건지..전혀 모르잖아요. 우리나라처럼 좁은 땅덩어리야 거기서 거기지만 러시아같은 큰나라는 사정이 다르니까요. 유럽은 특히나 이 나라에서 저 나라 가는게 무슨 이웃 친구네 가듯이 가니까 더 헷갈리고 말이죠.

    근데 제 독서는 대부분 용두사미에요. 읽고플 때 읽고, 귀찮아지면 당장에라도 집어치우고..그래서 제대로 끝마무리한 독서가 별로 없어요..ㅠ.ㅠ

    ㅎㅎㅎㅎ 아이리시스님은 독서를 깊이 있게 하시는 스타일이시잖아요. 아이리시스님 페이퍼 볼 때마다 책을 몇 번이나 보면 이렇게 소화된 글이 나올까..감탄한답니다. ^^
  • 아이리시스  2013-04-28 17:56  좋아요  l (0)
  • 아... 이해돼요. 그냥 지나칠때보다 훨씬 좋겠죠. 사실 파리에서 로마로 가서 이탈리아를 유명도시를 거점삼아, 베네치아, 베로나 이렇게 움직인다고 치면, 저는 이탈리아,프랑스를 정말 좋아하는데도 어느방향인지 전혀 모르겠는데, 땅덩어리 큰 중국이나 러시아, 아프리카 중동 같으면 더하니까요. 이거 보니까 중국얘기할때 정치말고 지형이나 지리도 한번 공부해보고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너무 먼 얘기^^

    실크로드 얘기, 종종 올려주세요. 저도 따라가게요. 후훗. 옛날에 한권 사놓은 실크로드 책이 있긴한데, 정말로 두장을 못넘기겠더라고요. 실크로드 생활을 다룬 다큐는 예전에 본적있는데, 아, 이렇게 관심사 넓혀가는 것도 좋은것 같아요. 사막의 밤하늘 사진을 제게도 보여주세요^^

    그리고 독서라면, 저도 그래요, 언제나 그렇죠. 검색하거나 조사해서 소화되기 직전의 것들을 써놓고 자주 읽어볼때도 있죠. 예를들면, 예전에 동유럽 페이퍼 같은거요. 달사르님 화이팅! 길게 설명해주신것 감사해요. 이해가 잘됐어요!^^
  • 달사르  2013-05-10 15:31  좋아요  l (0)
  • ㅎㅎㅎㅎ 그럴게요. 실크로드 이야기. 한동안 쉬었는데 또 짬짬이 자료를 찾게 되면 올릴께요.
    여기 올리는 거는 제 공부 목적도 있기 때문에 저에게도 도움이 되거든요. 제가 기억력이 짧아서 돌아서면 까먹어서요. 여기 올려놓고 수시로 봐야되거든요. 힛.

    저도 제가 공부하는 분야에 아이리시스님이 관심 보여주시면 기분이 좋아요. 와. 좋아. 이렇게요.

    아! 사진! 사진은 밤하늘만 있는 게 아니라서..
    ㅎㅎ 담번에는 밤하늘만 찍은 사진을 보내라고 할께요. ^^


트위터 보내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