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심경민님의 서재
  • 사나운 애착
  • 비비언 고닉
  • 13,500원 (10%750)
  • 2021-12-22
  • : 5,511
자기서사self-narrative는 고닉의 글쓰기에서 중요한 형식이다. 모녀관계, 우정과 사랑, 페미니즘, 대도시에 혼자 사는 여성, 읽기와 쓰기, 문학과 예술 등 주된 관심사는 대부분 작가 자신의 고유성이라는 강력한 도구를 통해 개인화되고 정치화되었다. 『사나운 애착』뿐 아니라 고독한 뉴요커의 일상을 그린 『눈높이에 가까이Approaching Eye Level』와 베스트아메리칸에세이상을 수상한 『그리니치빌리지에서 보낸 편지Letter from Greenwich Village』 같은 에세이는 물론, 비평집 『사랑 소설의 종말The End of the Novel of Love』 등 장르를 불문한 많은 글에서 고닉은 자기서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회고록 작가로 널리 이름을 떨쳤지만, 특유의 자전적 글쓰기는 문학비평에서도 중요한 자취를 남겼다. 톰 울프와 조앤 디디온을 필두로 한 작가들이 주관과 문학적 필치를 가미한 개인 저널리즘(뉴저널리즘)을 선보였다면, 고닉은 비평에서 ‘개인 비평’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가 사용한 일인칭 비평은 “버지니아 울프의 전통적 문학비평을 이으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서사의 고백이라는 현대적 욕구를 반영한다.”(『가디언』) 고닉이 개인적 경험을 통과해 비평에서 보여준 통찰은 당대 주류문학에 빠르게 흡수되었고 오늘날에는 명백한 관점으로 받아들여진다. 회고록의 ‘나’는 비평집에서의 ‘나’이기도 하고 기사와 칼럼, 전기 등 다른 많은 글의 ‘나’이기도 하다. 어떤 주제가 됐건, 고닉의 글에는 작가 자신의 경험을 녹여내 길어 올린 ‘정신의 삶’이 담겨 있다.
도시 빈민가의 다세대주택, 잡다하고 별스러운 이웃들, 거리의 사람들, 가족사와 연애사, 기억과 내면의 풍경, 타오르는 슬픔과 깊은 어둠 속에서 입을 벌리고 있는 무기력, 진정한 삶에 대한 야심과 생의 에너지…… 『사나운 애착』에서 보여주는 고닉의 자기서사는 어디서도 들어본 적 없는 이야기들로 펼쳐지지만 독자는 이것을 익숙하게 자기 것으로 환유할 수 있다. 작가의 통찰이 개인적인 것의 정치성을 문학성만큼이나 강력하게 활용하기 때문이다.
『사나운 애착』은 단지 모녀의 애증을 그리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사회의 외부자인 여성으로서 경험하는 비가시성이라는 형벌, 배제되고 외면되어야 하는 매일매일의 시련, 여성이 느끼는 불행의 본원…… 이 모든 것을 초월해 진정 자기 것이라 말할 수 있는 정신의 삶을 살아내겠다는 결심을 그린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어머니와 함께한 시간을 교차시키는 과정에서 고닉은 그 복잡한 관계를 사랑과 자유, 일에서의 성취를 탐색할 구도로 활용한다. 서로 사납게 뒤얽힌 완전히 다른 두 인생, 그러나 그중 어느 하나도 포기할 수 없다. 경계에 선 삶일지라도, “반쯤 들어와 있고 반은 나가 있는”(319) 외부자일지라도 인생을 진정한 밀도로, 제대로 된 품질로 살아내고 싶다는 열망. 이 책이 가장도 해소도 없이 끝을 맺으며 드러내는 것은 그러한 의지일 것이다. 이 관계, 이 삶들이 작가에게 그만큼이나 진정한 것이어야 했기에 독자는 작품을 어쩔 수 없는 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