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소설이다. 그중에서도 SF 소설이다. Sience Fiction이다.
Wikipedia에서 Sience Fiction을 찾아보면, SF는 일반적으로 창의적이고 미래에 일어날 일들을 다루는 공상의 장르 소설이다. 특히 발전한 과학이나 기술, 우주여행, 시간 여행, 평행 우주, 외계 생명체와 같은 먼 미래에 가능한 일들이 소재가 된다.
Science fiction (sometimes shortened to sci-fi or SF) is a genre of speculative fiction that typically deals with imaginative and futuristic concepts such a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space exploration, time travel, parallel universes, and extraterrestrial life
https://en.wikipedia.org/wiki/Science_fiction
SF를 마냥 생각하면,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하늘을 날아야 할 것 같고, 과거로 가서 부모님을 만나 사랑에 빠지기도 해야 할 것 같고, 외계인은 정겨운 친구로 등장해야 할 것 같고, 사람들은 우주 공간을 떠도는 도시에서 살아야 할 것 같다. 또는 정반대로 마지막 전쟁 이후, 원시 상태로 돌아가 서로를 잡아먹으며 치열하게 아귀다툼을 해야만 할 것 같다. 그리고 요즘은 인공지능이 대세이니 인공지능 컴퓨터에 지배당하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우리의 주인공은 치열하게 로봇과 싸우거나 그 자신도 프로그램의 일부라는 것으로 자각하는 결말쯤은 나와야 할 것 같다. 이론 물리학에 기반했다면 이 세상은 몇백 번째의 시뮬레이션일 뿐일 수도 있다.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는 그런 것들을 조금 비웃어준다. SF이니 배경이 현재나 과거는 아니고 어느 가까운 또는 먼 미래임은 틀림없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이하 우빛속 - 은 창의적 미래의 공상이긴 했지만, 몇 십 년 동안 우려먹어서 진부해져버린 그린 공상과학의 소설을 소재나 주제로 삼지 않는다.
김초엽은 포항공대 생화학 석사이다.
그래서인지 김초엽의 과학소설은 조금 더 과학적이다. 당연히 SF 소설 작가들은 소재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고 쓸 것이지만, 그녀의 학력 때문인지 논문을 좀 더 본 것 같고, 개연성이 적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이고 있을법하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우빛속은 김초엽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빛속의 타이틀인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김초엽의 과학적 상상이 과학적으로 기발하면서도 현재의 우리 모습에 시사점을 던져주는 대표작이다.
워프 버블 기술로 먼 우주를 빨리 갈 수 있었던 시대의 주인공 할머니의 남편과 자식은 어떤 먼 행성으로 이주했다. 인간 냉동과 해동 연구의 주요 연구원이었던 할머니는 지구에서 해동 기술을 완성하고 가족이 있는 행성으로 이주할 계획을 가졌다. 연구에 몰두했던 할머니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몰랐다. 안전한 해동 기술이 완성될 즈음에 웜홀이 발견되었다. 먼 우주를 워프 버블로 공간을 왜곡해서 아주 빨리 갈 수 있던 우주여행 시대는 웜홀의 발견으로 저물었다. 우주와 우주를 잇는 웜홀이라는 통로로 그저 가기만 하면 온 우주를 아주 짧은 시간에 갈 수 있었다. 그래서 인강 냉동 기술은 우주여행을 위해 각광받던 기술에서 의료 분야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연구비가 줄어서 할머니의 - 그 연구 당시에는 젊었을 - 연구는 지연되었다. 조금 늦추어졌지만, 할머니는 해동 기술을 완성시켜 인간 냉동 기술을 전 세계에 발표하게 되었다. 그런데 전날 긴급한 연락이 왔다. 할머니의 가족이 있는 행성으로 떠나는 우주선이 연구 발표하는 날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운항을 하지 않는다는 소식이었다.
왜 운항을 중단할까? 생이별을 한 가족들이 많은데 말이다.
웜홀을 이용해서 온 은하의 우주를 다닐 수 있으니, 워프 버블로 우주여행을 하는 것이 시간도 돈도 더 많이 들어서 우주 연방은 웜홀을 이용한 우주여행만 하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웜홀은 모든 우주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할머니의 가족이 사는 행성은 웜홀이 근처에 없었고, 자족할 수 있을 만큼 지구인이 이주해서 지구에서 그 행성으로의 운항을 영구히 중단한다는 것이었다.
할머니는 평생의 연구 성과 발표를 다급히 마치고 우주선을 타러 달려갔지만 놓치고 말았다.
할머니와 같은 많은 사람들이 생이별한 가족들이 있는 행성으로 우주선을 띄워달라고 요청도 하고 데모도 했지만, 어렵게 우주선이 마련되어도 할머니의 차례가 오기에는 이산가족이 너무 많았다.
170살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 그 미래에도 인간은 100년 내외로 살 수 있었는데, 할머니는 냉동과 해동을 계속 반복했던 것이다. 자신이 완성 시킨 그 기술을 이용해서 말이다.
더 이상 운행하는 우주선이 없는 우주 정거장에서 할머니는 홀로 그렇게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며 혹시나 출발할지도 모르는 우주선을 기다렸다.
소설은 그 낡은 우주정거장이 골칫거리가 되어 우주 연방으로부터 벌금만 내게 되자 철거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할머니 때문에 실패했던 회사에서 최후통첩을 하기 위해 보낸 직원이 할머니와 만나면서 시도한다. 할머니를 지구로 귀환시키는 것에 성공했다고 생각한 그 직원이 우주 정거장의 블랙박스를 가지러 간 사이에 할머니는 행성 사이를 오가는 셔틀 우주선을 타고 무모하게 가족이 있는 - 가족이 묻혀 있는 - 행성으로 떠난다. 결코 도착할 수 없는 곳으로 출발한 것이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에 등장하는 우주여행의 이론들과 그 이론들이 시간 순으로 발전하면서 생기는 사회 현상에 대한 예측은 김초엽의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 과학이 발현되는 사회에 대한 통찰 있는 관찰력을 잘 보여준다.
김초엽은 청각장애인이다.
김초엽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사이보그가 되다>이다. 청각장애가 있어 보청기를 한 김초엽과 지체 장애가 있어 휠체어를 탄 김원영 변호사가 컬래버레이션으로 집필한 <사이보그가 되다>는 인간의 몸에 기술의 발달로 보조 기구들이 장착되어 가는 모습과 그런 기술의 발달에 장애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극복할 대상으로 봄으로써 생기는 현실의 그림자를 드러내주는 책이다.
<사이보그가 되다>에서 청각장애는 아예 듣지 못하거나 보청기를 착용하면 잘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어리석게 생각한 나의 장애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넓혀주었고 올바르게 잡아주었다. 청각장애가 있는 김초엽의 공감 능력은 일반적인 사람들의 그것보다 훨씬 더 깊고 넓다.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스펙트럼>, <공생 가설>, <감성의 물성> 곳곳에서 보통의 사람들은 느끼기 힘든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보통 사람이 아닌 사람들로 간주되는 보통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들을 엿볼 수 있다.
<스펙트럼>에서 할머니가 젊었을 때 난파된 행성에서 인간의 가시 영역을 벗어난 색으로 그림을 그리며 현재를 전승하는 원시의 외계인들을 보면, 우리 인간이 오감으로 느끼는 세계라는 것이 결국 우리 인간의 오감이 느낄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한정적으로 그려진 일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는 웜홀 통과를 위해 통과 과정의 열악한 환경에서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우주인으로 선발된 사람들의 신체의 5%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기계로 대체되는 사이보그 그라인딩을 다룬다.
인간이 사이보그가 되어 웜홀을 통해 웜홀 너머의 우주로 나아간 것은 인류가 한계를 뛰어넘은 것일까? 인류가 아닌 사이보그라는 초인류가 당연한 능력으로 해낸 것일까? 웜홀을 최초로 통과하게 될 우주인으로 선택되어 사이보그가 된 우주인은 웜홀로 출발하는 우주선에 타지 않고, 그 전날 심해로 다이빙해서 사라져 버린다. 이쪽 우주나 저 건너의 우주나 똑같을 것인데, 굳이 내가 왜 거기에 가느냐는 말을 딸에게 남긴 채 사라진다.
그리고 김초엽은 여자다.
그래서 <관내분실>에서 죽은 엄마의 뇌가 스캔 되어 디지털화된 영혼의 엄마를 만난 딸의 이야기는 아이를 가져서 김은하씨에서 지민 엄마로 이름을 잃어버린 자기의 일을 잃어버린 어머니의 여자의 이야기를 한다.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분명 SF 소설임은 맞지만, 그 사실감과 뛰어난 공감 능력으로 미래가 현재가 되어 지금의 이야기를 증폭해서 우리에게 가정문을 평서문으로 써서 전해준다.
그리고 오디오북도 같이 들었는데, 세 성우 님의 명낭독 또한 독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