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간에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보복폭력 사건과 관련한 칼럼 두 개를 옮려놓는다(사건은 김회장이 구속되는 선에서 조만간 마무리될 모양이다). 사건 자체야 어처구니 없지만(사실 더 뉴스거리가 될 만한 건 이 사건에 대한 경찰의 대응태도였다), 과연 그게 국민적 에너지를 투여할 만한 일인가에 대해선 의구심을 갖게 된다. 인민재판식 여론몰이 또한 국외자적 시각에서 보자면 좀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인 코드'와 관련되는 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이 '한국인 코드'가 새삼 너무 소모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뒷맛은 씁쓸하다. 아래는 그런 씁쓸함을 되새기게 해주는 칼럼들이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59060283_1.jpg)
문화일보(07. 05. 04) 미국과 다른 한국의 문화
한국에 20여년 살면서 한국인들이 어떤 사안에 대해서는 집단적으로 무척 감정적인 대응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좋게 말하면 한 마음이 된다는 뜻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집단편집증 같기도 하다.
우선, 2002년 당시 효순·미선 양 사건을 돌이켜보자. 그 꽃다운 여학생들의 불행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찢어진다. 하지만 그 사건은 그 뒤 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듯이 미군 운전병이 그 학생들을 죽이겠다는 의도가 없었던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그 불행한 사고가 마치 주한미군, 나아가 미국 전체의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식의 반미감정 차원으로 비화한 것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최근 버지니아공대 조승희 사건이 터지자마자 미국 정부는 가장 먼저 조승희 부모의 신변 보호에 들어갔다. 사건 초기 한때 재미 한국인들에 대한 보복 우려가 제기됐지만 기우로 끝났다. 한국교포가 보복 당할지 모른다는 발상은 어떻게 보면 한국인 스스로의 피해 의식의 소산이었을 것이다. 미국인들은 오히려 조승희 가족도 피해자라면서 동정론까지 펼쳤다.
한국인인 아내와 함께 미국이나 유럽여행을 하던중 전철이 고장나 발길이 묶인 적이 가끔 있다. 그러나 그 사고가 의도적인 게 아니었다면 이용객들은 묵묵히 전철이 출발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런 모습을 보며 아내는 한국에서라면 벌써 전철 역무원과 거친 목소리가 오갔을 것이라며 혼잣말을 하곤 했다.
최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건은 미국에서라면 이렇게까지 1주일 이상 전국이 들썩거릴 정도로 난리가 나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김 회장의 행동이 옳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극히 개별적인 사안인 이 사건을 마치 한국 대기업 전체의 문제, 나아가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대립구도 식으로 몰아가는 듯한 움직임은 서양인의 시각으로 보면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한국인 친구들은 대부분 본인이 술집에서 얻어맞으면 대항할 생각도 못하고 참았을 것이라고 한다. 술집 배후의 조폭 보복이 무섭기도 하거니와 술집에서 얻어맞아 이마를 10바늘 꿰맸대서 그것을 법에 호소한다고 쉽게 해결될 일도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자식 문제로 가면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이 사건의 본질은 자식 사랑이 지나친 어느 아버지의 성급한 과잉대응이 아닐까.
한국인들의 끔찍한 자식 사랑은 사실 유별난 데가 있다. 한국인 아버지들은 이번 사건을 접하면서 내심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고 자문해봤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속마음은 깊이 감추고 돌연 이 사건을 대기업 총수의 문제로 보아 가진 자와 힘 있는 자가 당하는 모습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듯하다.
과연 이번 사건을 막강한 대기업 총수 대 무력한 술집 종업원이라는 전형적 이분법의 틀에 담는 게 바람직한 자세일까. 미국인들은 조승희 사건에 대해 민족·인종·계급의 문제와 무관한 개인의 문제로 취급하면서도 그 사회·문화적 맥락을 차분히 따져보는 성숙한 자세를 보였다. 이번 사건에 대해서도 우선 개별 사안이라는 전제를 분명히한 뒤 혹시 그 배경에 있을지 모를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생각해보는 게 문제 해결의 올바른 순서가 아닐까.
다섯살 때 하루는 동네 형에게 얻어맞고 피를 흘리며 집으로 돌아온 적이 있다. 아버님의 동정을 살 요량으로 울어보았지만, 아버님은 오히려 내게 다시 가서 그 형을 때리고 오든지 아니면 당신한테 한 대 더 맞든지 둘 중 하나를 택하라는 게 아닌가. 물론 나는 몽둥이를 숨기고 그 형을 불러내 한대 때리고 줄행랑을 쳤다. 그 형의 몸집이 아버님의 절반이었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전혀 다른 문화에서 자랐기 때문인지 아무리 오랫동안 한국에서 살아도 한국인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에릭 함슨 / 명지대 교수·영문학)
![](http://www.hankyung.com/photo/200704/2007042996688_2007042913731.jpg)
한겨레(07. 05. 07) 김승연 회장은 곧 잊혀진다
“당신들의 생명이 소중하듯이 내 생명도 소중합니다. 나는 살고 싶습니다. 제발, 제발 …” 참수를 당하기 전 화면에 비쳐진 고 김선일의 절규 앞에서 전율을 느꼈었다. 온나라가 아니 온세계가 다 그러했을 것이다. 연쇄 살인범 유영철 사건은 또 어땠을까. 희대의 줄기세포 사건, 황우석 교수 얘기는? 아니 그렇게 멀리 갈 것도 없겠다. 바로 얼마 전, 눈동자 너머로 깊은 우물이 패어있는 듯한 느낌을 안겨줬던 총기 난사범 조승희의 동영상을 보던 심정은 어떠했던가.
사건·사고라는 이름으로 세론에 떠오르는 온갖 ‘세상의 일들’은 언제나 늘 그렇게 터지고 그렇게 잊혀져가는 것일까. 김승연 사건, 정확한 명칭으로는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 부자의 보복폭행 의혹사건’이 휩쓰는 세상 속에서는 버지니아의 조승희도 서귀포의 양지승 어린이도 벌써 까마득한 옛일 같기만 하다. 냄비근성에 대한 탄식 못지않게 인간사가 본래 그렇지 뭐, 하는 체념이 앞서기도 한다. 날마다 일정 분량의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듯이 사람은 늘 일정한 감정 격발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닐까.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이 바로 이 ‘감정’ 문제다. 더 정확히 속내를 드러내자면 감정‘만’ 있었던 게 아닌가 하는가 하는 자기반성이 그것이다.
김승연 회장 사건을 언론에서 처음 접했던 순간에는 자동반응처럼 특권층의 초법적 행동에 분노가 치밀었다. 그 정도 갖춘 사람이 그런 수준의 보복행동으로 대응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깊은 경멸감이 일었다. 그 와중에 택시 안에서 라디오 뉴스를 들었다. 기자의 목소리는 차갑고 매섭고 날카로웠다. 그는 사건의 내역을 보도하는 게 아니라, 그 내역을 빌미로 해서 자신의 분노를 토로하는 듯이 느껴졌다. 그 느낌을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보세요! 저 악질 기업가가 정말 나쁜 일을 저질렀어요!’쯤을 외치는 듯이 전달되어 왔다. 보도라는 공적수단을 통해 한 인격체가 저렇게 매도되어도 되는 것일까. 더욱이 수사가 확정되기도 전에. 기자에 대한 반감과 더불어 폭력을 휘둘렀다는 ‘회장님’에 대한 동정이 치미는 기분은 참 미묘했다.
김수영의 시 ‘풀잎’에서 풀은 ‘바람보다 더 빨리 눕고 바람보다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고 묘사된다. 학교시절에 그 풀은 민초를 뜻한다고 배웠다. 과연 민초가 그러한가. 한국의 언론보도가 더 빨리 눕고 더 빨리 울고 더 먼저 일어나고 있지 않은가. 하긴 언론의 선정주의는 말하기도 지겹다. 과당경쟁 상황에서 이해가 가는 면도 없지 않다. 그렇게 과잉되게 ‘울고불고’ 해야 반응이 오는 사회심리에 더 큰 탓이 있는 것도 같다.
쉽게 타오르고 쉽게 꺼지는 불의 연료는 감정이다. 감정이 사건을 지배하는 한 그 사안에 종횡으로 연루된 복합적 성격은 규명되지 않으며, 은폐된 본질이 미처 토론의 수면으로 떠오르지 못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건이란 끊임이 없는 법이어서 새 사건이 이전 사건의 파장을 금세 뒤덮어 버리기 때문이다. 흥분 곧 감정격발의 연쇄상태로 세상이 흘러가는 것이다. 사회문제 관심 주기는 상상할 수 없이 짧다.
법 위에 올라서서 쇠파이프를 휘두른 당사자들은 시간만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금방 잊혀질 테니까. 선행폭력을 휘두른 이른바 술집 종업원(?)들은 희희낙락하고 있을 것이다. 갑자기 불쌍한 희생자로 둔갑했으니까. 기자들은 슬슬 다른 먹잇감을 찾고 있을 것이다. 이미 식상한 사안이 돼 버렸으니까. 그리고 국민은? 물론 또다른 사건으로 흥분할 준비를 하고 있겠지. 늘 그래왔지 않은가.(김갑수 문화평론가)
07. 05.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