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읽고보고듣고쓰고
오늘 읽기 시작한 부분에서 저자는 강남의 한 병원에서 얼굴 살 관리를 하는 의사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10년 이상 일하면서 자신이 느낀 점을 독자들에게 말해주는데, 그 중 특별히 와닿게 느껴졌던 것은 ‘수술이 습관을 못 이긴다‘는 말이었다. 수술이 아무리 잘 되더라도 수술 이후에 얼굴 습관이 수술 전과 비슷하다면 결과는 그닥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저자의 직업 특성상 미용 목적의 수술을 얘기하고 있지만 반드시 미용 목적이 아니라 하더라도 독자인 나는 개인적으로 수술이라는 것에 비교적 회의적인 편이다. 뭔가 인위적인 것이 들어가게 되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반드시 수반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수술 후 지속적인 사후 관리 같은 것들 말이다.

그래서 수술이라는 건 진짜 피치 못할 심각한 상황이 아니고서는 가급적 주변인들에게도 권하지 않는 편이다.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남은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신경쓰고 관리해줘야 한다는 부담감은 생각만큼 단순히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수술을 하지 않았더라면 딱히 신경쓸 필요도 없는 일들이 생겨나는 것이기에 수술 전에 최대한 신중히 검토해보고 개인적으로는 가급적이면 수술을 하지 않는 쪽을 권한다. (이런 말하면 의사 선생님들은 자신들에게 돈이 안 되기에 그닥 좋아하지 않겠지만 의사가 아닌 우리같은 일반인들의 입장도 있는 것이기에 서로의 필요에 따라 각자의 상황에 맞게 잘 판단하시길 바란다.)
.
.
.
뒤이어 읽다보니 저자도 독자들에게 얼굴 인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표정을 결정짓는 미소 근육에 대해 언급한다. 본문에 이런저런 말들이 많이 나오지만 핵심은 웃는 인상이 동안을 만듦과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각인시켜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오늘 본문을 읽고 얼굴에 미소를 짓기 위해 얼굴 근육을 양옆 귀쪽으로 당겨보았는데 평소에 자주 쓰지 않았는지 뭔가 부자연스럽게 느껴졌다. 오늘부터라도 의식적으로 미소짓는 연습을 통해 인상을 조금이라도 좋게 만들어가도록 노력해봐야겠다.

수술은 습관을 못이긴다. 아무리 수술을 잘해줘도 얼굴 습관이 그대로면 결과는 나빠진다.- P87
얼굴 살 수술은 노화와 관련이 있다. 얼굴은 나이가 들수록 처지고 줄어들기 때문이다. 물론 체중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전반적인 노화의 과정은 연부조직의 소실과 탄력의 저하다. 그러면서 생기는 변화가 있다. 바로 앞볼의 감소와 턱 라인의 처짐이다.- P88
동안의 조건은 2가지다. 앞볼의 볼륨감과 갸름한 턱라인이다. 이 2가지가 동안의 핵심이다. 물론 피부 주름이나, 색소성 질환, 눈과 코의 변화도 중요하다. 하지만 턱선이 처지고, 앞볼이 꺼지는 모습은 20대와 60대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우리 병원이 턱선 교정과 앞볼 보강 수술을 가장 많이 하는 이유다.- P88
문제는 수술 후에 발생한다. 아무리 처진 살을 제거하고 앞볼의 볼륨을 채워도 습관이 바뀌지 않으면 몇 년 지나 다시 수술하러 온다. 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표정 습관, 얼굴 근육을 잘못 쓰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P88
얼굴 근육은 얼굴 노화와 관련이 있다. 턱선을 올려주고, 앞볼 볼륨을 유지하는 가장 효율적인 장기가 근육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고, 콜라겐을 증식해도 근육의 리프팅 능력을 따라잡을 수 없다. 앞볼에 지방을 이식하고 콜라겐이나 필러를 채워도 근손실이 일어나는 속도를 넘어설 수 없다. 그래서 얼굴 근육이 노화 예방과 동안 유지에 가장 중요하다.- P88
미소가 아름다운 사람이 미인이다. 우리는 외모보다 인상을 기억한다. 인상은 마음에 박힌 이미지다. 쉽게 변하지 않는 한 사람의 기억이 인상이다. 그래서 인상 좋은 사람이 외모 좋은 사람보다 오래 남는다.- P89
소개팅에서 그 사람의 눈, 코, 입은 희미해지지만, 그녀의 미소는 며칠이 지나도 떠오른다. 외모는 해석된 것이지만, 인상은 각인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상이 좋아야 한다. 그 인상을 만드는 것이 바로 표정이다.- P89
표정이 인상을 결정한다. 그 표정은 얼굴 근육이 만든다. 그래서 얼굴 근육을 표정 근육이라 부른다. 그중에서 얼굴 인상과 관련있는 근육이 있다. 바로 미소 근육이다. 우리가 웃을 때 쓰는 근육이다. 이 미소 근육이 발달하면 웃는 인상이 생기고 이미지가 좋아진다.- P89
미소 근육은 눈 주변의 눈둘레근과 광대뼈에서 시작하는 근육이다. 아래로 내려가 팔자주름과 입꼬리 주변의 피부와 연결된다. 이 근육이 작용하면 윗입술과 입꼬리가 위로 올라간다. 미소가 생기고 턱선이 갸름해진다. 앞볼이 살아나며 외모와 인상이 동시에 좋아진다.- P89
버스나 지하철, 혹은 길거리를 걷는 사람들 표정을 보면 모두 비슷하고 어둡다. 입은 꾹 다물고 사각턱 주변으로 힘을 주고 있다. 미간은 찡그리고 있고, 그 사이에 주름이 잡혀 있다. 어딘가 모를 긴장과 불안이 표정에 나타난다. 24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표정, 그 표정이 바로 이 무표정이다.- P90
무표정은 우리의 대표 표정이다. 나를 가장 잘 드러낸다.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그 표정을 거울로 한번 보면 우울하다. 미소 근육을 쓰지 않아서다. 미소 근육을 쓰지 않기 때문에 무표정은 어두워 보인다.- P90
표정을 밝게 하고 인상을 좋게 하면 외모도 개선된다. 그 과정에서 인생도 달라진다. 표정과 감정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P90
즐거우면 웃지만, 웃으면 즐거워진다. 슬프면 울지만, 우는 연기 속에 슬픈 마음이 든다. 표정이 밝아지면, 감정도 긍정으로 변한다. 그리고 그 즐거운 감정이 주변으로 퍼진다.
그때 사람들은 나를 좋은 인상으로 기억하고 나에게 호감을 표시한다. 그 시작이 바로 ‘아이는‘이다.- P90
‘아이는‘이라는 단어를 말할 때 나타나는 변화가 있다. 지금 거울 앞에서 ‘아이는‘이라고 말해보자. 그리고 자신의 얼굴을 보자. 입가에 미소가 보일 것이다. 왜 그럴까? ‘아‘라고 말할 때, 턱쪽 저작근에 힘이 빠지게 된다. 그러면 입과 턱 주변 근육에 힘이 빠진다. 우리가 화나거나 흥분할 때 힘을 주는 근육이 입 주변 근육이다.- P91
부장님이 화를 낼 때 입 모양을 봐라. 그때 쓰는 근육이 입 주변 근육이다. 이 근육에 힘이 빠지면 부정적 감정이 줄어든다. 너무 화가 나거나 감정이 폭발할 때 이를 꽉 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 자를 자주 말하고 연습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P91
‘이‘라고 말할 때는 턱 끝에 힘이 살짝 들어간다. 그러면 말려 있던 턱이 뾰족해진다. 턱 끝이 살면서 표정이 좋아지고 턱선이 살아난다. 얼굴 축이 좋아지고, 선이 깔끔해진다. 인상마저 또렷해지는 느낌이다. ‘이‘ 자는 턱이 뭉툭하거나 자갈 턱을 가진 경우에 아주 효과적이다.- P91
또한 입술의 바깥이 살짝 올라가며 긍정의 불이 켜진다. 미나리나 개나리처럼 ‘이‘나 ‘리‘자로 끝나는 글자를 말할 때 느껴지는 입꼬리의 느낌이다. 미소가 시작된다.- P91
마지막 ‘는‘은 핵심 발음이다. 우리의 얼굴 근육 중 볼 주변으로 배치된 4개의 미소 근육이 있다. ‘는‘ 발음은 이 미소 근육을 위로 당긴다. 입꼬리가 올라가고 앞볼에 볼륨이 생긴다. 턱선이 갸름해지고 얼굴선이 올라가게 된다. 처진 턱선이 올라가면 표정이 좋아지고, 봉긋한 앞볼도 생긴다. 갑자기 동안으로 얼굴 느낌이 변한다. 나도 모르는 미소마저 생긴다. 인상이 좋아지고 외모도 개선된다.- P92
"노화로 인한 변화의 70%는 표정 근육이 결정한다."- P92
표정 근육이 약해지면 표정이 어두워지고 인상이 나빠진다. 얼굴이 처지면서 턱선이 길어지면 나이 들어 보이게 된다. 외모와 인상 둘 다 좋지 않게 변한다. 그러면서 내 마음도 부정적으로 변한다.- P92
어두운 표정이 불평, 불만, 불안을 느끼게 한다. 그 마음의 변화는 또다시 표정으로 나타난다. 인상은 굳어지고 내 주변은 어두워진다. 그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 자신의 표정을 망치고 내 인상과 인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얼굴 습관을 바꿔야 한다. 그 시작이 ‘아이는‘이다.- P92
지금 당장 ‘아이는‘을 말하고 거울을 보자. 1초 만에 미소가 만들어질 것이다. 무표정에 숨겨져 있던 보물과도 같은 미소다.- P92
외모가 좋아지고, 인상이 따뜻해지며, 인생이 밝아질 것이다. 그 미소가 인생까지 밝게 만든다. 오늘이 달라지고 내일이 변하며, 미래가 이미 빛나고 있을 것이다. 그 달라진 미래에도 당신은 웃고 있을 것이다. ‘아이는‘이 그 변화된 미래와 함께하길 바란다.- P93
우리는 왜 친구가 되었을까? 당신의 친구가 왜 친구가 되었는지 고민해본 적이 있는가?- P95
나와의 동질성, 결국 ‘끼리끼리‘ 만나는 것이다. 비슷한 사람들끼리 지내는 게 친구다. 그 비슷함의 항목은 달라지지만, 본질은 변함없다.
‘친구는 나와 비슷해야 한다.‘- P97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당신은 성공을 꿈꾸며, 나아지고 싶다. 지금보다 여유롭게 살고, 인정도 받으며, 인생을 업그레이드하고 싶다.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사회적으로는 명성을 쌓으며, 여유로운 인생을 살고 싶다. ‘안부자‘인 지금에서 ‘부자‘인 내일로, ‘부자‘인 내일에서 ‘찐 부자인 미래로 거듭나고 싶다. 늘 똑같은 나, 과거의 동질성에서 나는 벗어나고 싶다. 문제는 이 지점이다.- P97
친구는 내가 자신과 달라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 끼리끼리의 동질성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 늘 자신의 곁에서 자신과 비슷하길 바란다. 경제적으로 비슷하고, 관계적으로도 비슷하며, 생각과 말과 행동도 비슷하기를 바란다. 그게 친구기 때문이다. 이때 친구는 나의 성장을 위협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성장한 친구는 나와 달라지기 때문이다.- P98
친할 친(親)과 옛 구(舊)를 사용하는 친구의 한자어가 알려주고 있다. 직역하면 ‘친한 옛 것‘이다. 친구는 과거를 향한다. 과거의 모습과 지금 모습이 변치 않기에 우리는 서로를 친구로 받아들인다. 삶의 큰 허들이 친구가 되는 이유다.- P98
미래를 향하는 나와 과거에 머무는 친구, 이 간극과 차이가 우리를 ‘여기에‘ 머물게 한다. 친구의 조언이 성공을 위한 발판이 아니라, 내 발목을 잡는 손이 된다. 뿌리쳐야 하는 가장 강력한 허들이다.- P98
인생의 허들은 쉽게 넘는 게 아니다.- P99
사실 사람들은 내 인생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다. 그게 친구여도 마찬가지다.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이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은 바로 자신이다. 그리고 한가지 비밀이 있다. 친구는 자신보다 더 잘된 친구에게 관심을 가진다.- P100
나는 알고 있다. 친구와 멀어져도 내가 잘되어 있으면 친구들은 나를 찾아온다. 그리고 내 마음속에 추억을 간직하면 10년만에 연락해도 우리는 친구로 지낼 수 있다. 그게 세상의 이치다.- P100
친구 허들에 얽매이지 말고 당신의 세상을 위해 결심해라. 그리고 미래를 위해 발목을 잡은 친구 손을 떨쳐내라. 나도 그랬다. 그러니 당신도 할 수 있다. 친구가 허들이 될 때 당신은 이미 성장하고 있다.- P101
미래에 대한 ‘모름‘이 우리를 불안하게 만든다.- P103
우리는 무언가를 알 때 안정감을 느끼고 편안하다. 초행길이 불안하고, 모르는 사람과의 만남이 두려운 이유다. 우리의 원초적 본능이 ‘앎‘이기 때문이다.- P103
경험은 자연스럽게 무의식에 새겨진다. 성공한 경험은 성취의 기억으로 연결되고, 이것은 무의식으로 마음에 자리 잡는다.- P105
합격의 결과는 오늘의 노력이 있어야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이다. 하지만 미래의 두려움이 이 프로세스를 방해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합격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 생긴다. 이 두려움은 과거의 실패 경험과 그 무의식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나는 실패하는 사람이다‘라는 무의식을 통해 그 세상(불합격의 세상)을 펼쳐낸다. 무의식은 두려운 생각을 만들고, 그 생각은 불안한 말과 행동으로 이어져 또다시 실패하는 미래와 연결된다. 그래서 불합격하는 현실이 늘 반복된다.- P105
이런 미래 예측은 의미가 없다. 두려움을 전제로 하는 예측은 늘 부정적 미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불안한 예감은 늘 틀리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부정적 현실을 만드는 이유다. 일상이 된 두려움 속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때문이다.- P105
굿 바이브 (good vibe)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 좋은 느낌을 간직한 채, 오늘 하루 즐겁게 살아야 한다. 미소를 머금고 긍정의 마음을 지닐 때 미래로 향하는 다른 문을 열 수 있다. 매사에 감사하고 주변에 친절하게 대하며, 자신만의 베풂을 실천하자.- P105
거울에 비친 나를 관찰하자. 무표정에 웃음이 담길 때 내면의 온도가 바뀐다. 두려움의 무의식에 긍정의 기운이 담기게 되고, 내면의 공간이 밝게 채색된다. 이때 삶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우리의 무의식이 긍정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무의식이 내 세상을 변하게 한다.- P105
나를 감싸는 긍정의 느낌은 무의식을 채색하고, 그 무의식은 하나의 영감이 되어 새로운 생각, 창의적 아이디어, 혁신적인 행동으로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과거의 모습을 조금씩 벗어나게 된다. 습관처럼 반복되던 일상의 굴레에서 벗어나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맞이하게 된다. 자신과 나를 둘러싼 세상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 변화는 당신의 느낌이 바뀔 때 시작된다. 슬픈 예감이 아닌 좋은 느낌의 삶으로 바뀌게 된다.- P106
인생은 변화하지 않아도 될 수백 가지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그게 바로 무의식 때문이다. 마음을 가득 채운 불평, 불만, 불안의 무의식, 그 무의식이 그렇게 생각하게 만든다. 그래서 현재가 만족스럽지 않아도, 어제와 똑같은 삶을 살아가게 된다. 우리는 자아 의지가 아닌, 무의식의 의지로 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불안한 예감이 왜 맞는지 모른 채 미래 예측만 하며 살아간다.- P106
당신은 지금 어떤 느낌이 드는가? 한번 느껴보자. 지금 내 느낌은 어떻고, 세상을 바라보는 기분은 어떠한가? 그 느낌과 기분의 총합인 당신의 바이브는 과연 긍정적인가? 각자 다르게 느끼겠지만, 이것만은 기억하자.
‘지금의 느낌을 앞으로도 느낄 것이다.‘- P107
지금의 느낌이 긍정이면 오늘도 즐겁고, 내일도 행복한 느낌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내 느낌이 부정적이고, 슬픈 예감이 그 주변을 감쌀 때, 그 느낌은 내 안에 무의식과 연결되어 반드시 부정적 미래를 끌어당긴다. 불안한 기분이 가지는 강력한 힘이다.- P107
여기가 바로 변화의 출발점이다. 지금의 느낌을 변화시켜라. 그리고 그 변화를 통해 미래의 모습을 맞이하라. 그 시작이 미소다. 거울을 자주 보고 자신의 미소를 확인하자. 그 미소를 통해 내 안에 있는 긍정의 느낌을 끌어내라. 미소와 동반된 즐거운 감정 속에서 오늘을 살아라.- P107
즐거움 속에서 하루를 보낼 때 삶은 꽤 훌륭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P107
결과는 과정에서 오는 것이고 즐거운 과정은 반드시 즐거운 결과와 연결된다.- P107
"인생의 점들은 연결되어 있다"- P107
반드시 기억하자. 불행한 예감이 틀리지 않듯, 행복한 예감도 ‘결코‘ 틀리지 않는다.- P107
"행복을 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부, 명예, 학벌이 아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노년은 사람들과의 관계에 달려 있다."- P108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