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단순한 자기계발서를 넘어, 창의적인 실천과 사유를 통해 자기 자신을 재발견하게 만드는 인상적인 책이다. 저자 오츠카 아미는 I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GPT를 활용한 실험적 도전으로 국제 학회에서 인정받은 젊은 연구자로, 이 책에서 ‘100일 동안 매일 1개의 창작물을 만든다’는 프로젝트의 여정을 상세히 풀어낸다.
책은 총 7개의 STEP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순히 어떤 결과물을 만들었는지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매일의 경험 속에서 발견한 삶의 철학, 도전의 의미, 인간의 창조성과 성장의 가능성을 함께 서술한다.
초반부인 STEP 0 ‘프롤로그’에서는 "챗GPT로 뭘 하고 싶지?"라는 물음을 시작으로, 기술과 창작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저자가 학생 시절 워크스테이션에서 실험한 AI 기반 게임, 도구, 앱 제작 경험은 GPT 활용의 생생한 사례로 흥미를 끈다.
이후 STEP 1~6은 실제 100일 동안 제작한 프로젝트 기록과 그 과정에서 얻은 통찰로 채워져 있다. ‘마지막 가을’부터 ‘주체는 나’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챕터들은 독자에게 끊임없이 묻는다. “지금 이 도전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포기하고 싶은 날을 어떻게 견뎌낼 것인가?”
특히 STEP 3 '작품은 나 하기 나름' 파트에서는 창작의 방식, 기억과 수학, 나만의 리듬과 의미 찾기에 대한 고찰이 깊이 있게 전개된다. 여기에서 챗GPT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사고를 확장하는 파트너로 자리 잡는다. 저자는 "챗GPT는 나를 뛰어넘을 수 없다"는 문장을 통해, 창작의 주체가 결국 인간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책 중간에 수록된 ‘100일 챌린지 작품 리스트’는 이 책이 단지 에세이적 글쓰기만이 아닌, 실제 프로젝트형 콘텐츠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역사 게임’, ‘금속 탐지기’, ‘도미노 게임’, ‘회전 캘린더’, ‘툴킷’, ‘명함 생성기’ 등은 코딩·창의·논리의 복합 작업이며, 단기간에 이 모든 것을 만들어낸 도전정신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STEP 6 ‘최적해를 찾아서’는 100일의 마지막 국면에서 다가오는 자기반성과 정리의 시간이다. 여기서는 형식과 직함을 넘어서, 진짜 내가 추구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다시 묻는다. ‘주체는 나’라는 마지막 챕터는 이 책의 핵심 메시지이자, 독자에게 던지는 가장 강력한 질문이기도 하다.
마지막 STEP 7 ‘에필로그’에는 100일 도전을 가능하게 한 지속의 비결과, AI를 활용한 수천 개의 프롬프트가 부록처럼 정리되어 있다. 이는 향후 GPT 활용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며, 책의 실험적 가치 또한 배가시킨다.
『#100일 챌린지』는 단순한 성공기나 노하우 전수가 아닌, 실패와 고민, 좌절까지도 함께 나누는 진정성 있는 기록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작은 도전이 얼마나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는가”를 직접 체험하게 될 것이다.
자기계발서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물론, 창의적 도전이 필요한 이들, GP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개발자와 기획자, 그리고 일상의 권태를 깨고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싶은 모두에게 이 책은 강력히 추천할 만하다.
도전은 늘 어렵고, 시작은 미약하다. 하지만 매일 1cm씩 나아가는 꾸준함은 결국 인생을 움직인다. 『#100일 챌린지』는 그 사실을 누구보다 정직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출처]
[긴급!] '#100일챌린지/인사이트' 도서 서평단 모집 (마감: 7/27) -15 (컬처블룸★체험,리뷰,라이프,건강,맛집,뷰티,도서,영화,공연전시) | 작성자
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