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시네마천국

에밀 브루너는 <기독교와 문명>에서 문화를 가리켜 **‘의미의 물질화’ materialization of meaning라고정의하였다. 278
토마스 아퀴나스가 말한, "은총은 문화를 파기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시킨다"는 유명한 공리가 문화 위에 있는 그리스도 견해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87
문화를 변혁하는 그리스도: 이 견해에는 세속 문화의 가치와 목표를 하나님 나라를 섬기는 쪽으로 개종시키고자 노력하는 ‘개종주의자들’이 속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장 잘뱅과 존 웨슬리, 조나단 에드워즈도 비슷한 견해를 취한다.- P287
칼뱅은 구약과 신약은 경륜 administratio에서는 다르나 실체 substantia에서는 동일하다. 실체와 내용 면에서 두 성경 사이에는 불연속성이 전혀 없다.- P298
바르트는 ‘하나님 말씀의 삼중태’라는 개념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 구현된 하나님의 말씀, *이 말씀에 대한 성서의 증언,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앙 공동체의 *설교를 통한 말씀의 선포라는 세 가지 요소를 구분한다.- P304
이야기 신학은 학문적 신학 저술의 특성으로 여겨지는 추상 abstraction이라는 따분한 관념을 거부한다. 일반화를 추구하는 추상적인 신학 방법은 옆으로 밀려난다. 인격적 개입의 상상력, 곧 *현실성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신학을 개념적으로 연구하는 방식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P307
*복음은 *하나님과의 만남이 *개인의 삶과 *나라들의 역사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다룬다.- P308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약성경은 구약성경 속에 감추어져 있으며 구약성경은 신약성경에 의해 열린다"라는 한 문장으로 다듬어 냈다.- P313
전통 tradition이라는말은 라틴어 트라디치오(넘겨줌이나 물려줌, 전해줌) traditio에서 왔다.- P324
이렇게 다양하고 많은 오류들 때문에, 보편 교회의 규칙을 따라예언자와 사도들을 해석할 수 있는 규칙을 세울 필요가 있다. 지금 보편 교회 안에서 가장 크게 관심을 두어야 할 사항은 언제 어디서나 모든 사람이 믿어 온 것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규칙은 진정으로 보편적인 것이 어떤 것인지를 말해 준다. 이 규칙은 모든 것을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이성과 언어의 기준에서 봐도 확실한 것이다.

*만일 우리가 이 *하나의 신앙을, 곧 *전체 교회가 *세상 어디서나 고백하는 *신앙을 *참되다고 인정한다면, 우리는 **‘보편성‘universality)을 따르는 것이 된다.

만일 우리가 위대한 *성도들과 선조들이 분명하게 선포한 그 가르침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고대성‘ antiquity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 우리가 이러한 고대성을 인정하면서 *주교와 지도자들이 가르친 것을 모두(혹은 거의 모두라도) 따른다면, 우리는 **일치성‘ consensus을 지키는 것이 된다.

이 **보편성과 **고대성과 **일치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은 **‘빈켄티우스의 원리’ Vincentian canon 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근래에 들어와 에큐메니컬 논의에서 큰 중요성을 지니게 되었다.- P327
20세기에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똑같이 **’전통’과 ‘전통주의’를 구분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전통주의란 *과거의 교리나 *도덕 형식들에 *융통성 없이 *맹목적으로 *매달리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반해 **전통이란 *전승되어 온 신앙을 교회가 *생생하고도 *충실하게 지키는 것을 가리킨다.- P328
참된 전통은 언제나 살아있는 전통이다.
전통은 변하면서도 언제나 동일하다.
변하는 까닭은 그 본질적인 내용이 바뀌기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전통의 내용은 추상적인 명제가 아니라
"내가 곧 진리다"라고 말씀하시는,
살아계신 그리스도 자신이시다.- P330
이성과 합리주의의 차이점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이성은 증거와 논증을 기초로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고능력이다. 이성은 신학에 대해 중립적이며, 이성을 하나님 지식의 유일한 우너천이라고 생각하지만 않는다면 신앙에 아무런 위협이 되지 않는다.

**이성을 하나님 지식의 *유일한 원천으로 생각하는 순간 이성은 *합리주의로 변한다.

**합리주의란 배타적으로 *인간 이성만을 의지하고 *신의 계시에는 어떠한 가치도 허용하지 않는 태도다.- P342
임마누엘 칸트는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793에서 *이성과 *양심이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보다 앞선다는 것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예수는 이성이 가르치는 것을 인정하는 한에서만 존경받을 수 있으며, 이성을 벗어날 때는 배척당하게 된다.- P343
/ 계몽적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


한 때는 오직 *하나의 합리적 원리가 존재한다고 주장되었지만 점차로 **다양한 ‘합리성들’이 존재하고 또 존재해 왔다는 사살이 인정되고 있다.

철학자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는 진리와 의미에 대한 합리주의 견해를 역사적으로 깊이 연구한 책인 <누구의 정의이고 어떤 합리성인가?> whose justice? Which rationality?에서, *계몽주의는 **실제에서 결코 **충족될 수 없는 **정당화 기준을 주장한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P345
‘보편적 합리성’이라는 관념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허구에 불과한 것을 대접받는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다양한 합리성들이 존재하며 그것들 *각각은 *그 자체로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합리성들을 판정할 수 있는 *특권적인 관점, *보편적인 *이성 개념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P346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