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gallaghers4u님의 서재
폭력/비폭력 프레임이 아니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가‘와 ‘하고자 하는 말이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가‘를 먼저 이야기 해야만 한다.

˝정부의 감시와 질서 유지도 일종의 폭력이다. 따라서 타자인 우리들 또한 폭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정부와 시민이라는 권력 체제 내에서 탈피할 수 없다˝라는 주장은 현 상황에 얼마나 적합한가? 우리는 이론적이고 가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실제-현실에서 대중들이 어떻게 집회-시위를 읽어 내는지, 그리고 어떤 시위가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더 효과적인지를 생각해봐야한다.

이제까지의 시위 문화는 어떠했는가. 우선 집회-시위가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였는가‘의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라고 답해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의 집회-시위는 그들만의 리그였다. 새로운 사람이 집회-시위 문화를 향유하기에는 집회나 시위가 가지고 있는 중년-남성의 이미지가 너무나 강력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민중, 궐기, 시위라는 단어를 들으면 여전히 머리에 ‘투쟁‘이라고 쓰여진 밴드를 착용한 아저씨들의 모습을 상상한다. 그건 니 편견이지라고 말할 수 있다. 사실이다. 편견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건 수 많은 이들의 편견이다. 편견에는 실제 집회가 어떻게 진행되는가 혹은 우리가 집회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는 중요치 않다. 미디어와 이미지가 우리의 사고와 성향 체계를 구성한다. 대부분 사람들의 머리 속에서 집회, 시위 혹은 총궐기라는 것은 노동자 남성들의 무리가 공격적인 노래를 부르다가 결국 폭력으로 마무리 하는, 수많은 ‘나‘들과는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미지의 그것이었다. 이제는 섹슈얼리티와 세대,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을 말할 수 있는 시위가 필요하다. 모든 이들이 폭력에 대한 걱정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집회가 필요하다. 우리 어머니께서는 시위에 참여하더라도 맨 앞줄에는 서지 말라고 이야기하셨다. 하지만 이제는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는 사람이면 성별이 어떻게 되든 나이가 어떻게 되든 간에 맨 앞줄에 설 수 있는 시위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더 많은 이들이 더 많은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까지의 시위는 ‘하고자 하는 말을 왜곡 없이 전달‘ 했는가? 지금까지의 시위는 종북-불순의 프레임에 갇혀 제 목소리를 내는데 실패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시위가 갖는 특유의 폭력적 이미지는 그들이 내는 목소리를 ‘소수‘의 목소리로 만들었다. 그리고 ‘다수‘로 하여금 ˝난 저들과 달라˝라며 구별 짓고 소수를 평가 절하 하게끔 만들었다. 소수의 목소리는 자기만의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사그라들었다. 하지만 이번 시위가 공론의 장에서 만들어내고 있는 영향력은 사뭇 다르다. 폭력 없는 시위, 모범적인 시위는 언론에 의해 형성 된 것이며 비폭력은 아무 목소리도 내지 못한다고들 하지만 실제로 그러한가? 폭력 없는 시위는 언론에 의해 호명되지 않았다. 오히려 폭력 없는 시위가 언론을 호명했다. 시민들은 지배 담론과 지배 권력이 ‘여기까지만 놀아라‘라고 명령했기 때문에 비폭력을 외친 것이 아니다. ‘나도 저기엔 참여 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모이고 모여 더 큰 목소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폭력을 택한 것이다. 문제를 제기하는 순서가 뒤바뀌었다. 다수가 모여도 폭력이 없으면 소용없어! 라는 주장은 다수의 전제가 비폭력이었다는 사실을 놓쳤다. 비폭력 프레임이 우리의 행동을 제한한다! 라는 주장은 비폭력 자체가 우리의 행동이라는 사실을 간과한다. 만약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 더 많은 이들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것이 지금의 평화 시위라면 우리는 이쪽을 택해야 한다.

한병철이 <권력이란 무엇인가>에서 밝혔듯 푸코는 권력을 비판한 적이 없다. 오히려 푸코는 사람들이 자신의 입장을 왜곡해서 받아들인다는 사실에 당황했다. 그는 모든 것이 권력과 연관되어 있고, 권력만이 생산적이라고 이야기한다. 모두가 한데 모여 귀기울이지 않으면 타자는 타자로 남을 뿐이다. 이를 막기 위해 우리는 타자의 목소리가 더 멀리 퍼질 수 있게끔 또 하나의 대항 담론-대항 권력을 만들어야 한다. 그게 바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시위‘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