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산당화 그늘

물의 아름다움을 논하는 책을 읽다가 잠시(?) 산에 대한 책을 읽는다. 두루 아는 것일 테지만 인자요산(仁者樂山), 지자요수(知者樂水)란 개념이 생각난다.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고 해석되는 말이다. 나는 어진 사람은 산처럼 조급하지 않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처럼 순발력 있다는 의미로 읽는 것을 선호한다. 어진 사람은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긴 호흡으로 사람을 사귀는 유형의 사람이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처럼 순발력이 있어 변화를 선도하는 유형의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정약용(丁若鏞)이 다산(茶山)과 열수(洌水)라는 호를 쓴 것은 흥미롭다. 정약용은 열수라는 호를 더 좋아했다고 한다. 나도 열수라는 호가 더 마음에 든다. 나는 어진 인성과 거리가 멀고 지혜 이전의 지식 추구에 힘을 쏟는 사람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제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도감포 인근의 임진강 주상절리에서 해설을 할 때 강 지도를 활용했다. 예성강, 임진강, 한탄강, 한강, 북한강, 조강 등이 나오는 지도였다.

 

정약용은 북한강이 한강으로 흘러드는 현 남양주 마재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18년의 유배 생활을 마친 후 그곳에서 18년의 삶을 살았다. 정약용은 6살 때 연천 현감으로 부임한 아버지 정재원(丁載遠)을 따라 연천에 와 몇 년의 삶을 살았다. 그런 그가 정조 타계 6년전인 1794년 연천, 적성, 마전, 삭녕을 돌아보는 암행어사 직을 수행한 것은 인연이라 할 수 있다. 태풍전망대에 가면 삭녕 우화정에 관해 쓴 그의 시가 게시되어 있다. 우화정은 겸재, 창애, 청천의 임술년(1742년) 뱃놀이의 시작점인 만큼 물과 관련이 있는 곳이다.

 

전기한 물의 아름다움을 논한 책은 물과 아시아 미(美)라는 책이다. 학자 관료인 사대부가 중국 지성계의 흐름을 주도한 11세기 후반 물길을 따라 끊임없이 이어지는 강변의 모습을 횡으로 긴 장권(長券)에 그린 산수화가 유행했다는 글이 눈에 띈다. 물론 이런 유형의 그림에서 주가 되는 것은 물이다. 정약용은 예성강을 저수(瀦水)로, 임진강을 대수(帶水)로 표현한 분으로 물과 관련이 깊다.

 

전기한 산에 대한 책은 사람의 산 우리 산의 인문학이다. 저자 최원석은 우리 겨레는 산의 정기를 타고나서 산기슭에 살다가 산으로 되돌아가는 삶의 여정을 살았다고 말한다. 산에서 시작해서 산으로 될아가는 삶의 여정 곳곳에서 우리는 물을 만나 어울리며 감탄한다. 바다라는 뜻과 자궁이라는 의미를 갖는 수메르어 mar, 바다라는 의미와 무엇을 낳다/ 잉태하다란 의미를 갖는 일본어 우미(うみ)를 보며 나는 물과 생명이 연관이 깊다는 사실을 음미한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