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사 부부의 아이 양육서라니 처음에는 호기심이 더 컸던게 사실이다.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상담해주는 그분들은
자기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까 하는 생각에서였을 것이다.
결론은 모든 부모들이 겪는 문제를 그들도 다 겪고있다는 사실이고
그 과정에서 다른 여느 부모들처럼 고민하고 힘들어한다는 것이다.
뭔가 특별한 걸 기대하고 찾으려했다면
되려 실망이 컸을지도 모르는 책이지만
그 반대에서 생각해보면 그러기에 더 피부에 와닿는 얘기가 아닐까 한다.
책에서 아이 양육부분이 아무 문제도 없이 너무 완벽하게 진행되었다면
책을 읽는 우리들은 더 식상해하고 아마 끝까지 읽지 못했을것이다.
이 책을 읽은후 새삼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같이 생각해주고
흥분하고 화내기보다는 한발짝만 떨어져서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걸 새삼 깨달았다.
이제 1학년인 우리 아이가 앞으로 성장하면서 얼마나 많은 일을 겪을것인가?
그 안에서 나는 정말 아이에게 친한 친구같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욕심을 버리고 아이가 뭔가를 해주길 바라는게 아니라
아이 그 자체를 존중하고 지켜봐주는 그런 마음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한번쯤 읽어보면서
본인들과 아이들의 문제점이 무엇이지 되짚어보면 좋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