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으로 접어드는 지금, 인생에서 무엇보다 큰 행운은 함께 걸어갈 사람‘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걸어가고 있는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사람이 내 곁에 있다는 사실- P90
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지혜로움을 갖는 것이라는 걸 깨닫는다.
누군가를 견딘다는 것은 단순히 참는 것이 아니다. 그 사람을 믿고 기다려 주는 것이다. 완벽하지 않은 그를 완벽하지 않은 채로받아들이며, 그의 성장과 함께 ‘우리‘가 더 나아지리라는 것을 믿어 주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이기에 가능한 삶의 기적이 아닐까
십년, 우리는 이 시간을 함께 지나왔다. 그것은 기적이다. 그것은 그의 덕분이고, 그를 포함한 모두의 덕분이다. 긴 시간을 함께지나온 그와 내 삶 속에서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는 내 모든 이들에게 이 글을 바친다.- P91
이는 우리의 지각 방식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반복되는 자극에 대해서는 둔감해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늘 곁에 있는 사람들의 존재가 희미해지는 것이죠. 하지만 의식적으로 그들을 ‘깊이‘ 보려 노력할때, 우리는 새로운 면을 발견하게 됩니다.
저는 동료와의 십 년을 돌아보면서 이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그가 변한 것이 아니라 제가 그를 보는 눈이 달라진 것이라고 말입니다. 처음에는 그의 열정만 보였다면, 이제는 그의 인내심을, 그의 배려심을, 그의 성장하는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알아봄‘의 기적입니다. 같은 사람을 보면서- P93
도 매번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되는 것, 그리고 그 발견들이 누적되어 더 깊은 이해와 애정으로 발전해 가는 것 말입니다.
모든 인간관계는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지만 ‘알아봄‘
으로 완성되어 갑니다."- P94
"사람은 변하지만, 그 사람 안에는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서로가 가진 그리움이라는 이름의 기억입니다.
그리움이란 과거를 그대로 복원하려는 욕망이 아닐 것입니다. 오히려 과거의 어떤 순간이 현재의 나에게 여전히의미 있는 것으로 남아 있다는 확인이겠지요. 그 시절 우리에게 음악은 단순한 취향을 넘어 빼놓을 수 없는 행복의 이유였습니다. 저는 그때의 우리가 지금의 우리에게로 이어진 길을 음악을 통해 확인합니다. 세월이 지나도석이는 석이라는 사실을요. 그가 여전히 내 인생의 중요한 의미라는 사실을요."- P111
얼굴은 그 사람만의 고유한 역사서입니다. 다른 누구도쓸 수 없는, 오직 그 사람만이 써내려간 삶의 기록이죠.
그래서 누군가의 얼굴을 마주한다는 것은 단순히 외모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삶 전체와 마주하는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P137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동시에 그어느 때보다 외로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저 역시 ‘혼자‘가편안해진 사람 중 하나였고, 그 편안함이 어느 순간 관계를 막는 벽이 되어 버렸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고독과 고립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고독은 선택하는 것이지만, 고립은 방치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선택된 혼자임‘이지 ‘버려진 혼자임‘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해 봐야 합니다."- P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