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껴쓰기 훈련법의 원칙은 이렇다.
첫째, 신문칼럼을 베껴쓰며 글쓰기의 기본을 익힌다.
둘째, 흥미롭고 끌리는 분야의 글을 베껴쓴다.- P63
‘문장을 짧게 쓸 것‘, ‘첫 문단을 짧게 쓸 것‘, ‘활기찬 표현을 사용할 것‘, ‘긍정적인 표현을 쓸 것" 헤밍웨이가 근무했던캔자스시티 스타 신문사의 문장 지침이다. 동시에 헤밍웨이 소설 문장의 특징이며, 세상의 소설가들이 헤밍웨이로부터 배우려는 문체의 핵심이다. 헤밍웨이는 신문기사를 쓰며 글쓰기를업으로 삼았고, 신문기사를 쓰며 글쓰기를 단련했다. 예나 지금이나 신문기사는 단순하고 명료하며 정확한 것이 생명이다. 그래야 가독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것이 제대로 잘 쓴 글을베껴쓰기 위해 신문칼럼을 베껴쓰는 이유다.- P75
배워야 할 것이 있으면 하면서 배운다.
-아리스토텔레스- P93
나는 이와 같은 베껴쓰기 심화훈련에 ‘프랭클린 베껴쓰기‘라는이름을 붙였다. 프랭클린처럼 욕심껏 글을 잘 쓰기 위해 연습하고 훈련하는 방식을 익히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무의식적으로 기계적으로 문자만 옮겨 쓰는 방식의 베껴쓰기를 ‘바틀비 베껴쓰기‘라고 부르기로 했다.- P99
글을 참 잘 쓰게 되는 베껴쓰기 심화 훈련법
단계 1. 프리뷰잉_ 미리읽기 신문에서 베껴쓸 칼럼 고르며 읽기
단계 2. 액티브리딩 읽기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읽기
단계 3. 카핑 골라낸 칼럼을 베끼기
단계 4. 필터링 베껴쓴 것을 원문과 대조하며 읽고 고쳐 쓰기
단계 5. 리리딩 베껴쓴 것을 다시 읽기
단계 6. 모니터링읽은 것을 더 잘 이해하는 일련의 활동하기
단계 7. 앵커링 모니터링한 내용을 글로 써보며 자기화하기- P101
다시 반복하지만 중요한 것은 프랭클린처럼 주의 깊게 신중하게 베껴쓰기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틀비처럼 무의식적으로 의미 없이 글자만 옮겨 적어서는 베껴쓰기의 효과가 전혀 없다. 프랭클린처럼 효과가 탁월한 베껴쓰기를 하려면 음미하듯 천천히 그리고 세심하게 집중하며 베껴써야 한다. 문장 표현은 물론 구두점 하나까지,
문장 부호까지 원본 그대로 베껴써야 한다. 베껴쓰기의 목적은 필자가 의도한 사고의 과정을 추적하고 문장으로 표현되기까지의 경로를그대로 따라 해보는 데 있다. 필자가 글을 생산하기까지의 물리적인작업을 정확히 모방해야 의미가 있다.- P113
디브리핑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칼럼을 읽고 이해하고 느낀 것(앞단에서 해온 일련의 활동 끝에)을 글감으로 하여 한 편의 글을 쓰는 것이다. 블로그나 페이스북에 올려 다른 이와 공유하면 대화의 소재로삼기 딱 좋다. 또 칼럼에 등장한 인용이나 사례를 넣어 글을 쓰거나칼럼을 쓰게 만든 실제의 사례를 거론하며 칼럼니스트는 이렇게 생각하고 이런 글을 썼지만 나는 좀 다르다 하는 식으로 쓰다 보면 읽은 내용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초서라 불린 정약용 선생의 독서법과 비슷하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책을 읽으며 중요한 내용을 베껴썼고, 이때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메모했다. 선생은 이 독서법으로 전라도 강진에서의 유배생활 18년 동안 수백권의 책을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다. 세종대왕도 베껴쓰기 중심의 독서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름 하여 ‘백독백습‘이다. 아버지 태종이 책을 주면 세자이던 세종은 그 내용
을 소리 내어 읽으면서 베껴쓰기를 했다고 전해진다.- P127
"가장 열등한 것이 당신을 결정한다."
암웨이 창업자 제이 밴앤델- P133
베껴쓰기로 습득되는 글 잘 쓰게 되는 6가지 능력
특별한 능력 1. 크리에이티비티(창의적 생산성)
특별한 능력 2. 큐레이션(정보처리력)
특별한 능력 3. 대중화법
특별한 능력 4. 콘텐츠 파워
특별한 능력 5. 설득장치 : 레토릭
특별한 능력 6. 언어 표현의 유창성- P137
내가 고안해서 활용하는 ‘A.P.T‘라는 이름의 구조물을 소개한다. 신문칼럼을 읽고 이 구조물에 맞춰 내용을 분해해보자. 거의 대부분 짜맞춘 듯 맞아떨어질 것이다. 그런 다음 이 구조물을 당신의글쓰기를 위한 생각의 프레임으로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자. 당신도신문기자처럼 글을 잘 쓰게 될 것이다.- P143
글쓰기의 APT
Attention 흥미를 자극하는 제목과 도입부 쓰기
Point 사안 및 그에 대한 관점 짚기
Trigger 당신의 입장을 정리하여 제시하기- P144
베껴쓰기를 하며 배워야 할 신문 칼럼니스트들의 대중화법은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이야기한다는 측면이기보다는 어떤 전문적인 것도 쉽게 이해되도록 이야기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즉 글감으로서의 차별화된 지식이나 소재에 치중하지 않고, 그것들이 의미하는 것과 가치를 공유하는 화법을 말한다. 대중화법은결국 어떠한 메시지에 사람들이 즐겁게 귀 기울인다면, 그들이 이 메시지에 동의하고 승낙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대중화법은 지식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량이지만, 일부러 배우려 들면 쉽지 않다. 매일 한 편의 칼럼을베껴 쓰며 한 달에 30편, 1년에 360편의 모범답안을 베껴쓰다 보면저절로 길러지는 역량이라고 확신한다. 신문 칼럼니스트들은 정선되- P154
고 정련된 고급 정보를 아주 쉽게 표현하고 전달하는 대중화법의 대표선수들이기 때문이다.- P155
논설위원들처럼 매혹적인 제목으로 독자를 사로잡고 싶다면 신문칼럼들의 도입부 유형을 분석한 다음 그 가운데 하나를 택해 도입부 짓기를 해보자.
임팩트 있는 첫 마디
관심을 끄는 개념을 설명하며 시작하기
최근의 핫이슈로 시작하기
격언이나 속담, 고사성어로 시작하기
사례로 시작하기- P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