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을 받았습니다.
마이다스북에서 서평단을 진행했어요.
그냥 지원하는 때도 있지만,
저 책 꼭 읽어보고 싶단 마음이 드는 책이었거든요.
저자는 저를 잘 모르지만,
저는 그 분을 조금 알아요.
놀라운 성실성으로 '성장판 독서모임' 단체 카톡에 꾸준히
정말 꾸준히 책을 올려주시는 분이시거든요.
(아~그러니 얼굴이 안보이더래도 열심히, 잘 하는게 중요한가봐요 :)

저자의 싸인까지 받았습니다.
단 한 줄의 울림이라도 발견하시라는 저자의 말씀이 정말 마음에 와닿습니다.
단 한 줄 만으로도 마음을 고쳐먹거나,
단 한 줄 만으로도 좋은 선택을 하거나,
단 한 줄 만으로도 마음이 먹먹해져서 훈훈해지는 때가 있으니까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쓴다는 것의 의미, 쓰는 사람의 정의, 그리고 요즘 디지털 기기의 편리성에 덧댄 주의해야 할 점들이 좋았어요.
1.책을 제대로 읽으려면 쓰기를 해야한다.

1) 글 보는 눈,
세상을 보는 관점이 쓰기와 연결이 되고,
그러면서 남의 말을 알아듣는 만큼 타인의 삶에 대한 구체적 감각이 생긴다....는 표현이 참 다가옵니다.
눈으로 보기는 보아도 섬세하게 보는 눈도 있지만, 대충 보는 날이 얼마나 허다한지요.
맞아요. 무언가를 쓰려면 조금 더 자세히,자꾸 보아야 하는데
세밀히 보다 보면 못보던 것이 보이니, 새롭고, 다시 보게 되고, 관계가 다시 세워지게 되고.제대로 만나니 또 깊이있는 만남도 할 수 있는 걸 놓치고 지냈어요.
저자의 마음으로 글을 읽는다는 것은 제게 또 다른 시각을 , 또 하나의 관점을 제공해주는 것이었군요.
책을 읽을때 내 생각도 중요하지만,
저자가 선택한 어휘들이 다른 시각을 선물해주는 것을 맞보는 것
그게 독서군요.
쓸 생각을 하면서 읽어볼께요!!!

2) 인상깊은 장면 하나, 한마디 쓰기: 이 방법 참 좋은데요. 글쓰기 어렵게 하지말고 유튜브 보다가 인상깊은 장면 하나로 혹은 한마디로 글 쓰는 것.
이거 어렵지 않은 제안이라 해볼께요.

3)독서하다 밑줄긋고 +이유 써놓기
: 이것도 좋은 것같아요. 밑줄 치는 이유를 적어보는 것.
왜 이 구절에 끌렸는지, 마음을 끄집어내어 겉으로 표현해 보는 것은 웅크리던 마음, 활짝핀 마음,...어느 상황일때나 자기를 알아가게 하는데 아주 아주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 같아요.

4)한페이지 요약: 이런 형식으로 바쁠때 메모라도 해놓으면 좋을 것 같아요.
2. 작가의 정의

책을 읽을때 작가의 시선은 신선하고, 놀라울때가 많지요.
시집을 읽을때 특별히 그런 느낌을 더 받아요.
안도현 시인의 '스며드는 것'이란 시를 처음 만났을때 시인의 그 관점을 보고 얼마나 놀랐던지요.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어찌할 수 없어서.
삶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한 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간장게장으로 담겨진 꽃게의 이야기를 들은듯이 표현하지요. 그게 시인의 눈이란것을.
3. 디지털기기 읽기의 위험성을 알기

요즘 책들이 전자책으로도 많이 나와서 종이책도 이용하지만 전자책을 보는 것도 많아졌는데. 이런 점을 짚어주는 것 좋았어요.
깊은 생각없이 읽어나갈때 우리의 사고 수준이 깊어지지 않는다는 것.
그래서 우리는 심도 있는 생각을 할 수 있고, 사고를 발전시켜 가는 '깊은 독서, 깊이 읽기를 해야한다는 점이 오래도록 남네요. 밀도 있는 언어를 만났을때 경험하게 되는 언어의 광활함.그것들을 놓치고 싶지않습니다.



편안한 싸이즈에다 알찬 내용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책 제대로 읽기에 조금 더 진전 되어있을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다.
<책 제대로 읽는 법>이 제 마음에 화학작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