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카제국의 운명은 전편의 마지막 장면, 1532년 11월 16일 카하마르카에 들어온 프란시스코 피사로는 유일한 잉카의 자리를 두고 벌인 우아스카르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아타우알파와 면담을 청한다. 대군을 이끌고 카하마르카에 도착한 아타우알파는 피사로가 카하마르카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대에 응하기로 하였다. 게다가 ‘우린 무기 없이 갈 것이다.’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스페인 사람들이 200여명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고 방심한 탓일 것입니다. 하지만 스페인 사람들은 말과 쇠로 만든 칼, 더하여 대포까지도 가지고 있어 활과 창, 몽둥이나 투석기 등으로 무장한 잉카군과는 비교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니, 화를 자초한 셈입니다.
아타우알파와의 첫 대면에서 그를 사로잡을 셈이었던 피사로의 전략은 적중했습니다. 만남을 앞둔 아타우알파가 치차를 마시면서 스페인 사람들과 끝장을 볼 것이라고 호언한 것과는 달리 치밀하게 병력을 배치하는 등 준비를 했던 것입니다. 프레이 비센터가 건넨 미사용 성서를 집어던진 것을 계기로 피사로는 전투개시를 명령하자, 포성이 울리고 화승총을 발사해 잉카의 전사들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타우알파는 “나는 태양신의 아들이다.”라고 소리쳤을 뿐 전사들에게 공격명령을 내리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결국 아타우알파는 피사로의 포로가 되었습니다. <잉카2-쿠스코의 황금>에서는 스페인 사람들이 아타우알파를 처형하고 쿠스코에 입성하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피사로는 궁극적으로 금은보화를 거둬 스페인의 카를로스황제에게 보내고, 잉카를 통치하는 목표를 세웠는데, 그를 따르는 무리들은 황금에 눈이 어두운 자였습니다. 스페인 사람들의 속성을 파악한 아타우알파는 자신이 거처하고 있는 방을 금과 은으로 채워주면 자신을 풀어달라고 협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잉카제국에서 거둬들인 금과 은으로 방을 가득 채우고도 남았지만, 피사로의 수하들은 아타우알파가 동원한 군사들이 몰려오고 있다고 피사로를 속여 그를 죽이고 말았습니다. 그리고는 황금으로 만든 우아이나 카팍의 분신형제를 비롯한 황금이 넘친다는 쿠스코로 향합니다. 그 사이에 잉카쪽에서는 아타우알파의 동생인 망코가 유일한 군주로 추대됩니다. 아나마야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입니다.
망코는 평화주의 노선을 선택하고 스페인 침략자와 협력을 도모합니다. 물론 피사로 총독이 주장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피사로의 두 동생 곤살로와 후안은 막무가내입니다. 심지어 곤살로는 망코의 부인과 잠자리를 하겠다고 합니다. 망코의 씨족 여자 인구일이 나서서 왕비인척 하겠다고 제안해서 그 순간을 벗어나지만 결국 속인 것이 들통 나고 말았습니다. 결국 망코도 스페인의 침략에 저항하기로 하고 쿠스코를 탈출하지만 가마를 타고 도보로 이동하는 이들은 말을 타고 뒤쫓는 스페인인 사람들에게 금세 붙잡히고 말았습니다.
피사로의 스페인 병력이 200여명에 불과했지만, 이처럼 잉카제국의 심장부로 진격해 들어 갈 수 있었던 것은 잉카제국이 영토를 넓히는 과정에서 짓밟았던 소수민족들이 스페인 쪽에 합류하여 선발을 맡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아타우알파가 싸울 것을 천명하지 않은 탓에 침략자를 방어할 군사들이 소집되지 못한 탓도 있습니다.
이야기의 중심 줄거리가 되는 코야 카마겐인 아나마야와 피사로 총독의 수하인 가브리엘이 사랑에 빠지는 과정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잉카인들이 아나마야를 묵인해주는 이유도 분명치가 않기는 합니다. 아타우알파와 망코의 아버지로 유일한 군주였던 우아이나 카팍이 아나마야를 코야 카마겐으로 지목하면서 전했던 퓨마가 가브리엘이라고 설명합니다. 퓨마는 잉카를 지키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잉카 사람들은 전쟁을 통하여 제국 주변에 있는 나라들을 합병하였음에도 이방인인 스페인 사람들에게 호의를 베푼 이유가 분명치가 않은 것 같습니다.
<잉카2-쿠스코의 황금>편은 스페인 사람들이 쿠스코에 입성하여 황금을 차지하면서 망코를 풀어주는데 까지 진행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스페인 사람들에 대한 잉카 사람들의 저항을 소개할 것으로 짐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