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신중해져서 아무것도 믿지 못한다. 믿기 위해 계속 의심하는 삶이라니. 그냥 믿음 없이 사는 게 낫겠다, 하고 반은 농담으로 버무린 그 말이 이후 삶의 방식이 되어버리고, 그렇게 한참 살았는데 요즘 자꾸 간절히 믿고 싶은 것들이 생긴다. 믿음이 아니라 믿고 싶은 것들이 삶을 추동하는 모양이다. 그렇구나. 믿음 없이는 살 수 있어도 믿고 싶은 것 없이 사는 건 힘든 거였어.- P175
웃음으로 가릴 수 있는 게 많다는 걸 아는 사람들이 제일 어쩔 줄 모르겠다 싶은 곳이 병원 응급실과 장례식장이다. 눈물로 가릴 수 있는 건 많지 않다. 그러니까 웃자. 병원에 다녀왔다. 장례식장에는 가지 않았다. 대신 카페에 가서 한 시간 정도 앉아 있었다. 라테를 가져다주는 서버에게 고맙습니다, 인사할 때는 마스크 안에서도 활짝 웃는 입이었다.- P182
욕을 먹고 사과하고 용서받으며 배워야 하는 것도 있다. 서로가 짐작하는 관계의 불 완전성 여부는 공격해보지 않고는 모른다.- P183
외로움은 일반적인 생의 조건이고 결혼 유무 정도로는 벗어날 수 없다. 양갈래 혹은 그 이상의 갈림길 앞에서 혼자의 외로움이 여럿의 괴로움보다 견디기 쉬워서 한 선택들이 지금 나를 여기에 데려다놓은 것이다. 그동안 내가 익숙해졌다고 해서 그게 외로움이 아닌 건 아니다. 늙어도 외롭지 않다거나 살수록 인생이 더 재미있고 즐겁다는 말의 진짜 의미와 효용에 닿기도 전에 인간은 죽는다. 존재세(존재해서 내는 세금)적인 관점에서 보면 혼자도 외롭고 늙어도 외롭고 살수록 외롭다. 게다가 외로움이 우리가 감당해야 할 최악의 조건은 아니다. H와 L과 내 머리가 같이 움직인다. 끄덕끄덕. ‘혼자라는 상황에 대한 천편일률적 오해가 쌓아놓은 벽들이 더 곤란하다. 그래서 내가 수많은 너를 찾는다. 잡는다. 곁에서 꼬물거린다. 외롭지 않으려고가 아니라 계속 외로워야 해서. 외롭게 돌을 던져야 해서. 외롭지 않으려고 하는 모든 일 끝에 결국 외로움이 답이었다.- P190
무언가를 두려워 한다고 해서 그 두려움을 발생시키는 상황이나 대상에 대비하는 즉각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을 반드시 취하는 건 아니다. 그보다는 망각이나 외면이 효과가 좋았다. 어떻게 저렇게 얼렁뚱땅 말도 안 되게 살 수 있지, 에서 ‘저렇게‘에 해당되는 삶이었다. 이유를 게 없었다. 이유가 없다는 건 여유가 없다는 말이기도 했다. 불편함은 참는 거지 바꿀 수 있는 게 아니었다.- P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