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쓰기
칸은 문체를 꾸며서 부화한 문장과 뜻이 수줍어서 은비한 문장과 말을 멀리 돌려서 우원한 문장을 먹으로 뭉개고, 말을 구부려서 잔망스러운 문장과 말을 늘려서 게으른 문장을 꾸짖었다. 칸은 늘 말했다.
- 말을 접지 말라. 말을 구기지 말라. 말을 펴서 내질려라.
p.329 | 물비늘 | 남한산성
---------------
나는 문장에서 수다 떠는 걸 제일 싫어한다. 되도록 짧게 한마디로 딱 정리한다. 형용사나 부사 안 쓰고 문장의 뼈다귀만 쓴다. 주어·동사·목적어 중심으로 프레임만 짜려는 것은 역시 기자 시절의 습관, 그 영향이 남아 있는 것 같다.
p.27 | ˝패배와 치욕도 배워야 할 역사˝ | 김훈
---------------
˝형용사·부사를 다 빼.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써라. 이 세상에 일어난 모든 일은 3형식 문장에 담을 수 있다.˝
˝너는 문장과 문단의 차이를 아느냐?˝
˝문단이 바뀌면 우주가 바뀐다. 회사를 나가라.˝
p.3 | 몽골 기병들의 복귀 | 고제규 | 시사IN
---------------
시사IN의 기자들은 글을 간결하게 쓰는 것을 배우는 듯.
![](http://image.aladin.co.kr/product/11013/20/cover150/8956253528_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24/pimg_760807188176139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24/pimg_760807188176139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24/pimg_760807188176139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