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꼼쥐님의 서재

어제는 아침을 먹고 느지막이 산에 올랐다. 휴일마다 이렇게 한껏 게으름을 피우는 데는 이유가 있다. 휴일에나 있을 수 있는 여유로움을 한껏 누리고 싶은 것도 한 이유가 되겠지만 그보다 더 큰 이유가 따로 있다. 내가 평일에 아침 산행에 나서는 시각은 오전 5시 30분, 해가 길어졌다고는 해도 그 시각에는 여전히 캄캄한 어둠이 내려앉아 있다. 산을 오를 때마다 등산로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고는 있지만 어둠 속에서 쓰레기를 줍는 데는 한계가 있다. 작은 비닐이나 등산로 주변의 풀숲에 버려진 쓰레기는 발견하기 어렵다. 하여 가능하다면 휴일에는 느긋하게 산을 오른다. 더구나 겨울은 쓰레기를 줍는 데 최적의 계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산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도 일말의 양심이 있는 까닭에 자신이 버린 쓰레기가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는 나무둥치 뒤편이나 움푹 파인 곳에 버리기 일쑤여서 나뭇잎이 무성한 여름에는 이를 찾아내기가 무척이나 어렵다. 반면 나뭇잎이 없는 겨울에는 여름에 비해 등산객도 줄고, 상대적으로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도 줄어들지만 지난여름에 버려진 쓰레기를 쉽게 찾아내는 까닭에 여름이나 겨울이나 쓰레기를 줍는 양은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간밤에 내린 눈이 희끗희끗 잔설이 되어 낙엽을 덮고, 등산로에는 눈석임물이 고여 군데군데 작은 물웅덩이를 이루고 있었다. 회색 패딩을 입고 몇 발자국 앞서서 걷던 어느 할머니의 손에 들린 휴대폰에선 어느 목사의 탄핵 반대 연설이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었다. 하늘은 여전히 잔뜩 흐려 갤 기미가 보이지 않고, 봄을 시샘하는 쌀쌀한 바람이 등산객의 어깨를 더욱 움츠러들게 했다. 등산로 중간쯤에 놓인 어느 벤치엔 부부인 듯 보이는 젊은 연인이 나란히 앉아 있었다. 동공에 초점을 풀고 멍하니 앉아 있는 모습은 마치 물멍, 불멍도 아닌 낙엽몽을 하고 있는 듯 보였다. 어쩌면 다른 등산객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은 채 바람 소리나 새소리를 듣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정상에 올라 잠시 쉬고 있는데 60대 후반이나 70대 초반으로 보이는 부부가 내 앞을 스쳐갔다. 퉁퉁한 체형의(그렇다. '뚱뚱한'은 아니고 '퉁퉁한') 부인이 엉덩이를 과도하게 씰룩거리면서 앞서 걷고, 바로 뒤에서 남편이 뒤따르고 있었다. 검은색 누비 외투와 바지를 입고 암적색 비니를 쓴 부인은 이따금 남편을 뒤돌아보며 꽤나 즐거운 표정으로 웃고 있었다. 나는 그들을 지나쳐 빠른 걸음으로 산을 내려왔다.


나는 오늘 아침에도 여전히 어둠을 뚫고 산을 올랐다. 사락사락 싸락눈이 내렸고, 우둠지를 흔드는 바람이 무척이나 스산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