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책은 #블랙피쉬
(
@pan.min_books ) 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희박한 공기 속으로> - 높은 곳을 향한 욕망, 그 끝은 어디인가
💡에베레스트, 꿈인가 무덤인가
에베레스트는 인간이 도전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목표이자, 가장 깊은 절망이 함께 존재하는 공간이다.
존 크라카우어는 기자이자 산악인이었고, 이 위대한 산을 정복하고자 하는 욕망을 품고 있었다.
하지만 1996년 5월, 그는 정상이 아닌 죽음의 무대를 마주했다.
12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참사는 단순한 자연의 위력이 아니라, 인간의 오만과 판단착오가 겹쳐진 결과였다.
그는 이 책에서 극한의 생존 기록을 풀어놓으며, 등반이 단순한 성취의 과정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한계를 시험하는 싸움임을 보여준다.
살아남은 자는 무엇을 남기고, 죽은 자는 무엇을 남겼는가?
이 질문을 끝까지 붙잡고 책을 덮을 때,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산은 정복의 대상인가, 아니면 인간을 시험하는 최후의 무대인가?
💡살아남은 자의 무게
생존은 축복이 아니라, 때때로 고통이다.
크라카우어는 산을 내려왔지만, 그는 살아남은 기쁨을 온전히 누릴 수 없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즈음, 우리는 그가 짊어진 생존자의 죄책감을 온전히 느끼게 된다.
같은 팀의 동료들은 죽어갔고, 그를 포함한 일부만이 살아남았다.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를 가른 것은 체력이나 경험이 아니었다.
순식간에 닥쳐온 악천후, 판단의 순간, 그리고 운이었다.
하지만 인간은 운명 앞에서 단순히 운이 좋았다고 말할 수 없는 존재다.
크라카우어는 생존 후에도 긴 세월 동안 죄책감과 트라우마 속에서 살아야 했고, 그것을 글로 풀어내야만 했다.
그의 글은 기록이 아니라 고백이고, 증언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며 묻는다.
생존은 축복인가, 형벌인가?
💡에베레스트의 상업화, 누구를 위한 등반인가
이 책이 단순한 생존기에서 끝나지 않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크라카우어는 이 책에서 상업화된 등반 산업이 어떤 위험을 초래했는지를 날카롭게 분석한다.
과거에는 오직 경험과 실력을 갖춘 산악인들만이 도전하던 에베레스트가, 이제는 돈만 있으면 오를 수 있는 곳이 되어버렸다.
가이드들은 고객을 위해 위험한 결정을 감수해야 했고, 장비와 산소 부족은 필연적인 참사를 초래했다.
산은 변하지 않았지만, 인간이 산을 대하는 방식이 변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비극적이었다.
정상에 서는 것이 성공이 아니라, 살아서 돌아오는 것이 성공임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너무 늦었다.
이 책이 출간된 이후에도 에베레스트의 상업화는 멈추지 않았고, 그 결과 매년 더 많은 시신들이 그곳에 쌓이고 있다.
💡인간은 왜 위험을 향해 나아가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높은 곳을 바라본다.
크라카우어 역시 이 책을 통해 묻는다.
인간은 왜 위험을 감수하고, 죽음을 무릅쓰면서까지 도전에 나서는가?
산을 오르는 것은 단순한 성취가 아니라, 스스로를 시험하는 과정이다.
자신의 한계를 알고 싶다는 욕망, 생존의 본능과 싸우고 싶다는 충동이 우리를 정상으로 이끈다.
하지만 우리는 늘 묻게 된다.
그 정상에 오르는 순간이, 모든 걸 걸 만큼 가치 있는 순간인가?
크라카우어는 답을 내리지 않는다.
그는 단지 자신의 경험과 목격한 비극을 기록할 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기록을 읽으며 깨닫는다.
인간은 끝없이 도전하는 존재이며, 때로는 그것이 비극을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바로 그 도전의 순간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서평 요약
1996년 에베레스트 참사를 기록한 <희박한 공기 속으로> 는 단순한 등반기가 아닌 생존자의 고백이자 증언이다.
저널리스트이자 등반가인 존 크라카우어는 극한의 환경에서 벌어진 인간의 선택과 실수를 파헤치며, 상업화된 등반 산업의 위험성을 날카롭게 분석한다.
산을 정복하려던 인간들은 오히려 산에 의해 압도당했고, 생존은 기쁨이 아니라 무거운 짐이 되었다.
이 책은 우리가 왜 위험을 감수하며 도전하는지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