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얄라알라
  • 과식의 심리학
  • 키마 카길
  • 13,500원 (10%750)
  • 2016-11-10
  • : 312

교만은 스승 삼을 이를 만나도 몰라 보고 스쳐 지나가게 한다. 

[과식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Overeating)]을 2년 전쯤 읽었을 때, 그 몹습 병, 속독 때문에 저자 Cami Cargill와의 확장가능한 교집합을 몰라보았다. 

그래도 너무 자책하지는 말자. 실은 저자 역시도 2001년 박사 임상수련과정에 있을 땐 본인이 "음식 심리학" 분야의 큰 이름이 될지도, 이 분야가 이처럼 활성화될지도 몰랐으니까. 



에필로그에서 솔직하게 이야기하는데, 그녀는 애초에 "음식 심리학"  분야가 있는줄도 잘 몰랐다고 한다. 하지만 "심리학, 음식, 영양"이라는 자신이 평소 좋아하는 세 가지 화두가 맞아 떨어지는 분야인데다가, 주위의 기대('음식 심리학 강의'를 개설해줄 것으로 철썩같이 믿었기에 그녀를 조교수로 임용한 대학측 기대를 포함)가 있었기에 이 길을 개척하기로 한다. 


2015년에 낸 <과식의 심리학>이 히트를 쳤고, 이듬해 <Food Cult>를 내었다. 대중 강연과 미디어에서의 인터뷰 영상들을 보니, 학자로서의 치밀함에 더해 인품에서도 매력이 느껴진다. 조크를 더하는 스토리텔링 강의능력도 탁월하고. 

https://youtu.be/LqSop499qIY


 <과식의 심리학>은 이렇게 요약해서 이해할 수 있겠다. '과식, 폭식' 이로 인한 심리, 신체적 고통은 실은 현시대 소비문화가 낳은 문화적 질병이다. 그런데 이것을 "무절제, 탐욕" 등의 죄명으로 개인에게 책임 전가하다 보니, 개개인은 다시 이 문화적 질병에 저항하지 못한 채 자신을 고치려고 의사며 식품이며 약에 의존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깸으로써 우리는 문화적 질병으로서의 다이어트 강박, 폭식과 비만 등에서 조금 더 자유로울 수 있다는 핵심 주장이다! 



그녀의 문장을 그대로 빌어와 다시 정리해본다.


충동성과 나르시시즘, 고질적 정서적 허기를 드러내는 텅 빈 자아를 창조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공허함을 문화적 질병으로 여기기 보다는, 개인의 결핍으로 경험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기 위해 의약품, 상품, 음식을 소비. 소비로 인한 문제를 새로운 형태의 소비로 푸는 것은 자멸하는 길이라는 점이다. (169)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