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소설가 '찰스 디킨스'. 그는 어려서부터 몸소 체험한 사회 밑바닥 생활을 바탕으로 하층민들의 일상, 빈부 격차의 참담함을 생생한 필치로 그려냈다. 1843년 초판 출간된 <크리스마스 캐롤>은 5 편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중 첫 번째 중편 소설이자 대표작이다.
수전노, 구두쇠, 자린고비.. 이들의 대명사로 누가 떠오르는가? 그렇다. 바로 '스크루지'다.
해마다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디즈니 애니, 실사 영화 또는 뮤지컬로 스크루지 영감의 이야기가 티브이에서 방영되곤 했다. 동그란 안경을 걸친 심술궂은 '스크루지 맥덕'이 꽥꽥대며 가난한 이들의 도움 요청을 단칼에 거절하고 거리로 내몰던 장면이 떠오른다.
누구나 단번에 그려지는 익숙한 스토리. 스크루지는 사채놀이 등을 통해 부를 쌓았지만, 소문난 구두쇠이자 메마른 인성의 소유자다. 크리스마스 시즌이 다가오지만 스크루지는 조카 '프레드'에게 야박하게 굴고, 함께 일하는 사무원 '밥 크래치트'에게는 크리스마스 당일 늦지 않게 출근하라는 엄명을 내린다. 그를 향한 세인들의 원한과 분노가 겹겹 쌓이는 가운데, 스크루지의 악행은 멈출 길이 없어 보이는데..
하늘도 이를 차마 지나칠 수 없었는지 그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기로 한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세 유령이 차례로 등장해 스크루지에게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장면들을 보여준다.
어린 시절의 순수함,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열망이 넘쳤음에도 그는 성장하면서 재물에 대한 탐욕이 눈앞을 가리기 시작한다. 사랑하는 여인이 곁을 떠나고 가족과 지인들이 하나둘 떠나면서 그는 홀로 고립되는 상황을 자초하는데..
결국 임종의 순간에도 곁에 남아 애도하는 이 하나 없이 세간살이를 뜯어가는 도둑들만이 그의 시신 주위에 어슬렁댈 뿐이다. 스크루지는 지상에 쓸쓸히 서있는 자신의 묘비를 목격하고 경악하여 선행을 쌓기로, 주위 사람들에게 자비를 베풀 것을 약속한다.
현대 크리스마스의 창조자, 찰스 디킨스는 <크리스마스 캐럴>을 통해 자신이 소망하는 진정한 예수 탄신일의 의미에 대해 되새겼다. 사회의 양지로 나오지 못하는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게 따스한 거처를 제공하고, 정성이 담긴 음식을 내어 주라는 자비의 마음, 나눔 의식이 유행처럼 번져 나가길 바랐다. 그는 초현실적인 유령들의 현신을 통해서라도 하루치 양식을 벌기 위해 크리스마스에도 고된 노동을 하고, 거리를 헤매는 하층민들의 비참한 현실을 알리려 했다.
스크루지와 다름없는 사회의 기득권, 상류층에게 그동안 쌓은 부와 재물을 소외받는 계층에게 베풀어야 한다는, 크리스마스 시즌의 진정한 덕목을 깨우치려 한 것이다.
이제는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의 고착화, 고물가/인플레이션의 장기화, 빈부격차의 심화로 인해 아래로 향하는 최소한의 베풂, 나눔의 행위가 급격히 사라지는 거 같아 위기감을 느낀다. 크리스마스 연휴에 <크리스마스 캐롤>, 스크루지 영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들, 방송 채널이 사라진 것 또한 각박하고 냉정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서평단 #도서제공협찬 #크리스마스캐롤 #찰스디킨스 #찜커뮤니케이션 #다니엘최번역 #스크루지 #유령 #과거현재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