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드물게 번역으로 감동을 준 작품이다.
보통 번역에 주어지는 평가는 기껏해야 본전이다.
오역이나 실수 등은 쉽사리 눈에 띠어서 가차 없이 점수를 갉아먹지만 번역을 잘했다고 해봤자 번역은 원작의 미덕을 한껏 치켜세워주고서는 슬그머니 뒷자리로 물러난다.
심지어 독자에 따라서는 자신의 성향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박한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독자가 해당 언어에 익숙하다면 평가는 더욱 깐깐해지기 일쑤다.
나 역시 마찬가지라 번역, 특히 일본어의 번역에 대해서는 꽤나 평가가 박한 편이다.
하물며 번역에서 감동을 받는다는 건 정말 좀처럼 없는 일이다.
그만큼 이 소설의 번역은 정말 치열하고 아름답다.
이 소설의 원작은 도호쿠 방언으로 쓰였다.
일반적인 일본어 사용자를 독자로 하는 작품이라 어느 정도 선에서 수위를 조절하기는 했지만 원작이 가지고 있는 어감이나 리듬을 번역으로 살려내는 건 시쳇말로 헬 오브 헬의 난관이다.
그런데 이 작품을 읽는 순간 정말 놀랄 수밖에 없었다.
원작은 주인공인 모모코가 화자인 1인칭 소설인데 원서를 읽으면서 느꼈던 그 모모코의 말투가 그대로 전달되는 착각이 들었거든.
그만큼 이 소설의 한국어판은 화자 모모코의 목소리를 온전하게 한국어로 옮겨냈다.
원작의 도호쿠 방언을 한국어판은 강원도 방언으로 옮겨놨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건 정말 완벽한 선택이다.
방언은 작품의 주제와도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걸 표준어로 옮겨내는 건 있을 수 없다.
그리고 도호쿠 지방은 강원도와 많이 닮았다.
우뚝우뚝한 산, 춥고 척박한 땅, 겨울이면 쏟아져내리는 눈...
너무 놀라서 번역자를 찾아봤다.
정수윤 번역자님.
번역자로서의 이력이 심상치 않더군.
다자이 오사무 전집의 번역을 맡았고 도호쿠의 이와테 출신인 미야자와 겐지의 시 [봄과 아수라]를 번역했는데 이 두 작가의 작품에는 당연하다는 듯이 도호쿠 방언이 우글우글하다.
독하게도 이걸 하나하나 꼼꼼하게 고민하고 발품을 팔아가며 번역하신 모양이다.
작품도 작품이지만 이걸 한국어로 이만큼이나 온전하게 옮겨주신 번역자님께 감사를 드리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