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출판사 오아시스에서 제공받아 읽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 대한 저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소감을 여기에 기록해 봅니다.
마흔이라는 나이가 참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참 때라는 말을 하기엔 나이가 많은 듯하고 또 뒤로 물러나기엔 이때만큼 더 숙련된 시간은 없는 것 같은.... 진짜 애매한 나이 마흔.
미친 듯 2~30대를 열정적으로 달려왔다. 마치 단거리 달리기를 하듯 온 힘을 다해 버티고 이겨내고 조금이라도 더 앞서기 위해 애를 썼다면 40대부터는 장거리 달리기인 마라톤으로 장르가 바뀌게 된다.
달리고 있지만 전에 비해 그렇게 빠르지 않다. 페이스 조절을 하듯 달리는 중간중간 챙겨야 하는 것도 신중하게 고민하고 판단해서 결정할 일들도 많고 힘들어서 그만할까? 아니면 조금만 쉬었다 갈까? 하는 유혹도 생각도 많다. 한마디로 불안하고 어렵다.
이 책의 저자는 인생 전체의 시간 속에서 과도기적인 이 시기 마흔을 어떻게 잘 채우고 다듬고 적응해서 더 나은 내일로 향할 것인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해보았다. 총 5파트로 나누어서 이야기를 진행하는데 읽고 나서 보니 사실 큰 의미가 있었나 싶었다. 내용 자체가 다르거나 주제가 달라서 그렇다기보다는 구구절절 다 맞는 말들이고 혹시 나 같은 사람들이 이렇게나 많은 건가 싶을 정도로 공감 가는 내용들이 많이 나와 있어서 정말 빠져들어가듯이 책을 읽어냈었다. 평소 고민했던 내용들과 알고 있었지만 미처 고치지 못했던 나의 단점들까지 정확하게 느껴(?)가며 리얼하면서도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셔서 혼자 뜨끔해가며 읽었던 거 같다.
마치 실제로 옆에서 이야기를 듣는 듯한 어투와 말투도 친숙하게 느껴져 재미있으면서 부담 없이 읽어지는 책이었다.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고 누구에게나 인정받고 어른스러운 어른이 되고 싶은데 그게 어떤 건지도 모르겠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몰라서 막막함이 더 크게 느껴지는 때가 마흔인 거 같다.
결혼을 하거나 부모가 되고 혹은 내적인 성찰을 통해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마흔도 있고, 일과 생활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멋지게 능력있게 살아가는 멋진 마흔도 있다.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모습으로 가장 뜨겁게 살아가는 마흔인지에 대한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며 많아졌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을 해보기도 했으며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들과 앞으로의 삶에 대해 고민도 해보았다.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완벽한 정답을 알게 되는 건 아니겠지만 나에 대해 이렇게 진지한 고민과 생각을 해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은 것에 대한 의미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품격있고 차분하고 진지하게 행동하되 유쾌하면서도 열정적인 마음을 품고 살며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마흔!
그런 마흔의 모습이 나의 모습이 되기를 바래보며 오늘과 지금 이순간을 좀 더 잘 살아내야지 하는 다짐을 해본다. 반드시 아름다울 나의 사십대를 위하여 나의 마흔을 누리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