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책장만 넘기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그렇게읽은 책은 100권이 있어도 무의미하다. 그저 양만 늘어나고- P34
책을 읽는 속도만 빨라질 뿐이다. 책장을 넘기는 것은 행위일 뿐이고 생각하는 것이 진정한 대답이다. 책을 읽는 행위는 단순히 정보의 소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성찰의 기회가 되어야 한다. 습득한 지식을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것이 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충분한 사유가 필요하다.- P35
우울하거나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에도 인간은 자신의삶을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울함과 어려움을 통해 인간은 더 강해지고 자아를 발견하며, 삶을 보다 의미 있게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도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우울함에 빠지거나 자신을 포기하기보단, 오히려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산하며 삶을 즐기고 성장해야 할 것이다. 세상의 거의 모든 일은 마음에 달려 있으니까.- P45
왜 그렇게까지 관계에 집착하는 걸까? 단순하다. 그저 영혼이 고독해서 그렇다. 그리고 그 고독의 원인은 자신의 안에 다른 것은 다 있어도 정작 ‘자신‘은 없기 때문이다. 내 안에 내가 충만하지 않으니 나를 닮은 다른 사람들을 무리해서라도 주변에 끌어들여 함께하려고 하는 것이다. - P51
그러므로 진정으로 위태롭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선, 친구를 원하기 전에 자신부터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 내 안에•나를 충만하게 채워둔 후에 사람을 만나는 게 옳은 순서다.
그런 상태에서 맺는 관계야말로 비로소 과하지도 덜하지도않은 건강한 모양을 갖출 것이다.- P52
남을 비난할수록 내가 미운 사람이 되는 역설이 있다. 내생각대로라면 분명 그 사람이 징벌을 받고 내가 비난이라는징벌을 내렸으니, 나는 분명 사람들로부터 칭찬받고 존경가득한 시선을 받아야 할 텐데, 생각과는 반대로 나마저도나쁜 사람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P57
시작하는 일의 천재가 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바로 넓은 사랑을 갖고 맞서는 것이다. 눈앞에 있는 것이 무엇이 됐든, 그것을 사랑하고자 하면 마음속에서 많은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사랑은 사전적인 의미 그대로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거나 즐기는 마음.
또는 그런 일이기에, 새로움으로부터 오는 주저함과 두려움을 자연스레 이겨내게 되는 것이다.
- P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