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역량을 믿지 않는다면 의미 있는 일을 달성하려고•시도할 생각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지 않•으면 표류하는 삶을 살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택한 과제에 주의•를 집중하지 않으면 결실을 맺을 수 없다.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작용하면 선순환이 일어난다. 스스로 선택한 과제에 주의를집중해서 좋은 결과를 얻으면 자신의 역량에 대한 믿음도 늘어나는 것이다.- P70
탐험쓰기는 흰 종이를 작지만 무한한 공간, 완전히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꿔놓는다. 상사에게 보고할 필요도,
현실의 제약에 얽매일 필요도 없는, 마음 내키는 대로 생각을 따라가며 원하는 상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공간이다. - P71
탐험쓰기는 ‘내가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다‘는 느낌을 되새길•공간을 만들어준다. 행복심리학을 연구하는 메건 헤이즈는 이를두고 ‘자기저술 set-authoring‘ 이라 했다. "내가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느낌은 무척 강력한 힘을 갖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그런 느낌을 가상으로 경험하도록 해줍니다. 어떤 일을 해내는 과정을종이 위에 적다 보면 그 상황을 이해하게 되거든요."- P72
지금 행동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자유롭게 써보자. 종이 가운데에 세로로 선을 긋고 장점과 단점을 양쪽에 적어보아도 좋다. 그러면 머릿속에서 토론이 벌어져 어느 쪽 의견이 우세한지 알 수 있다. 아니면 종이에 해볼 만한 일을 쭉 적은 뒤 훑어보기만 해도, 생각이정리되며 그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P75
또 하나의 요인은 전자기기 중독이다(중독이 과한 표현은 아닐것이다. 2018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는 하루 평•군 2,617번 폰을 들여다본다. 이 정도면 다른 일을 할 시간은 거의 남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P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