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김하늘님의 서재
  • 패션 앤 아트
  • 김영애
  • 22,500원 (10%1,250)
  • 2024-01-25
  • : 863

패션은 시간이 흐르면 소멸되거나 먼 훗날에 다시 그 소멸된 패션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아트는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 남는다. 이것이 패션과 예술이 지난 상징이지 않을까 싶다. 즉 패션은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아트 즉 예술은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물론 예술도 시대적 흐름이란 것이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채를 달리하든지 아예 예술 같지 않은 예술이 만들어지도 하니까. 


명품을 모른다.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아 이름만 들어보았을 뿐이다. 그것도 한정해서 말이다. 구찌나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 정도만 들어보았을 뿐이다. 이런 이름들 속에는 어떤 스토리가 담겨 있는지 궁금한 마음에 펼쳐든 책이 패션 앤 아트다. 


패션과 예술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예술의 모방으로 인한 패션을 만들 수 있을 것이고 패션 속에 예술이 깃들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패션은 사라짐과 새로 생김이 반복되어 나타난다는 것이고 예술은 사라지지 않는 고유한 명사로 남는다는 것이다. 


패션 앤 아트란 책에서 12개의 명품 브랜드를 소개한다. 이 소개는 그것들의 이야기다. 단순하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흐름 속에서 어떻게 소위 명품으로 자리를 잡았느냐에 대한 것이다. 


명품이 처음부터 명품은 아니었다. 가치를 입힌다고 이야기해야 하나? 아니면 이미지를 입힌다고 해야 하나? 그도 아니면 당대 스타나 모델의 인기에 편승해야 했다고 해야 하나? 이야기를 이미지에 입혀 뭔가 독보적인 새로움의 브랜드를 만들어 간 산업이 놀라울 뿐 패션과 예술이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책을 다 읽어도 모르겠다라는 생각 뿐이다. 물론 이쪽에 관련해서 식견이 없어서 그런 것일지도. 


다만 이세이 미야케의 소개는 아주 흥미로웠다. 패션에 관한 식견이 없어도 이 사람의 이름을 책 읽고 처음 알게 되었지만 이 한 사람이 가진 디자인과 패션 그리고 예술에 대한 열정 하나 만큼은 높이 사고 싶다. 일본 사람은 하나의 일을 오래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나름의 철학의 갖고 말이다.  또한 책을 읽으면서도 이런 책을 왜 읽어야 하지 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 하나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션이 하나의 이미지만으로 남아 이미지를 소비할 뿐 그 패션이 가지고 있는 철학과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지도 못하고 그저 소비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볼 일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