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2024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340p)
2024.11.20 ~ 2024.11.24

김승옥문학상은 작가의 등단 오십 주년을 기념하고 그의 문학과 산문 정신을 기려 2013년 KBS순천방송국에서 제정한 문학상으로, 2015~2018년 경영상의 문제로 중단되었다가 2019년부터 순천시의 지원으로 문학동네가 새로이 주관하며 부활하였다고 한다.

"어떻게든 연결하면 결국 연결되기에" (p144)
수록된 한 편의 리뷰에서 읽었던 문구가 생각난다. 책에 실린 모든 소설의 인물과 소재와 내용들은 언젠가 만나거나 경험하고 목격했던 개인적인 기억들과 어떻게든 연결되었다.작가가 소설을 쓰며 최대한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인 감동을 의도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한편 한편 모든 작품에서 공감하는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어 깊이있게 읽어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불합리하고 답답한 상황을 마주했던 순간들, 경찰서와 법원에 가야만 해결할 수 있었던 몇가지 일들, 그렇게 큰 참사로 이어질 줄 몰랐던 그 사건을 뉴스로 처음 접했던 순간과 이후 오랫동안 마음을 짓누르고 있던 무기력한 기분과 시절의 분위기도 금새 되살아났다. 딸아이와 함께 다녀온 여행들, 한창 자라나고 있는 내 아들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내 아버지의 모습을 떠올렸고, 또다른 '정모'와 살고있는 지인의 가족들이 살아가는 일상을 우연히 들여다보았던 기억도 다시 생각났다.
짧은 소설들이지만 한편 한편 읽는 동안 여러가지 생각들이 머리 속으로 들어왔고 또 가슴 속에서 생겨난 것 같은 기분이다. 현실을 반영한 작품들이 한결같이 아프고 시린 부분들을 담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아버지로서의 내 입장'에서 읽었던 반수연의 [조각들]과 '내 아버지의 입장'에서 읽었던 강태식의 [그래도 이 밤은]이 기억에 남는다. 특히, [그래도 이 밤은]에 대한 소설가 이승우의 리뷰를 읽고, 무난했던 소설이 마치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와 같은 무드로 머리속에서 재구성되었던 그 순간적인 경험은 너무도 놀랍고 흥미로운 순간이었다. 그만큼 다른 작품에 비해 짧았던 강태식의 작가노트가 아쉽다.
이렇게 각 작품마다 달려있는 작가노트와 리뷰 또한 작품에 대한 진지하고 내실있는 글들로 이루어져 있어 소설과 훌륭한 짝이 되어주면서도, 독자에게 개별 작품을 넘어 소설이라는 장르를 대하는 것에 대한 훌륭한 가이드가 되어준다고 생각한다.
짧은 분량에 담았지만 더 많고 깊은 생각과 감동을 더해주는 단편소설에 대한 매력을 느낄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다. 역대 수상작품집들이 출간되어 있어 틈틈이 읽어 볼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