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는 대로 이루어지는 삶의 법칙]
2024.08.11~2024.08.16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는 삶의 법칙>은 영국의 철학 작가 제임스 앨런의 19편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두 권 ‘As a Man Thinketh’과 'Foundation Stones to Happiness and Success‘의 글을 엮은 책이다.
제임스 앨런(James Allen, 1864.11.28 - 1912.1.24.)은 영국 레스터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문맹이었고 아버지 윌리엄은 공장의 뜨개질공이었다. 그가 15세가 되던 1879년, 잉글랜드 중부의 직물 무역이 불황을 겪게 되자 아버지는 가족을 위한 새로운 일자리와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홀로 미국으로 떠났다가 도착 이틀 만에 강도살인에 휘말려 사망하고 만다. 가족이 경제적 파탄에 직면하자 1890년대의 대부분 기간 동안 앨런은 여러 영국 제조 회사에서 개인 비서 등으로 일했다.
1898년 앨런은 ‘The Herald of the Golden Age’라는 잡지의 기자로서 자신의 정신적, 사회적 관심을 드러낼 수 있는 창작의 시기에 접어들었고, 1901년 첫 번째 저서인 ‘From Poverty to Power’(빈곤에서 힘으로)를 출간했다. 1902년에는 자신의 영적 잡지인 'The Light of Reason'(이성의 힘)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이 잡지는 나중에 'The Epoch'(시대)라는 제목으로 바뀌었다.
1903년, 앨런은 가장 유명한 저서 ‘As a Man Thinketh’를 출판했다.
"사람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이, 그도 그러하다"
(As a man thinketh in his heart, so is he,)
이러한 잠언 23장 7절의 성경 구절에 근거한 이 작은 작품은 전 세계적인 독자에게 읽혀지게 되었고 사후 그의 이러한 사상은 데일 카네기나 나폴레온 힐 같은 자기계발의 대가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적은 인세 수익이었지만 1903년 알렌은 비서직을 그만두고 일프라콤(Ilfracombe)이라는 마을로 은퇴하여 집필과 편집 경력을 쌓을 수 있게 되었다. 그 곳에서 정신적인 스승이었던 톨스토이의 가르침대로 자발적인 빈곤, 영적인 자기 훈련을 체현하며 검소한 삶을 살았다. 'The Epoch'를 계속 출판하면서 앨런은 1912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9년 동안 19편의 작품을 썼다.
남편이 사망한 후에도 그의 아내는 ‘The Epoch’를 계속 발행하였다. 남편의 사후에 출판된 원고 중 하나인 'Foundation Stones to Happiness and Success‘(행복과 성공의 초석)의 서문에서 남편의 문학적 사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그가 이론이나 글쓰기 자체를 목적으로 글을 쓴 적은 없습니다. 그는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을 때 글을 썼고, 오직 그가 직접 스스로 살아보고 좋았던 것들만이 그런 메시지가 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그는 실천을 통해 증명한 사실들을 쓴 것입니다.“
작가는 인생, 지혜, 성공, 자기관리, 좋은 습관, 사랑이라는 여섯가지 파트로 나누어 인생 조언을 들려준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원인과 결과의 법칙’에 따르면 정신적인 세계에서는 가장 진실한 생각만이 승자로 남고, 나쁜 생각은 최종적으로 자멸한다. 인생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에도 ‘원인과 결과의 법칙’이 잠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좋은 생각은 좋은 결과를 만들고 나쁜 생각은 나쁜 결과를 만든다는 자연법칙은 우리의 인생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인생에는 그 어떤 우연도 존재하지 않으며, 일어나는 좋은 일과 나쁜 일은 모두 스스로의 마음에 달려있다. 결국 자신의 내면이 자신의 인생을 만드는 것이며, 자신의 현재 인생은 자신이 걸어온 과거의 결과인 것이다.
인생이든 사업이든 스스로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통한 생각과 행동이 다양한 조건의 흐름을 만들고, 자연법칙에 따라 피할 수 없는 숙명과 같은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원인은 자유로운 의지로 선택할 수 있지만 결과는 원인에 따른 당연한 운명으로 나타나게 되며 원인의 질과 결과의 질은 일치한다. 따라서 원인이 되는 바른 생각과 행동을 위해 각 개인은 감춰져 있던 내면적 특성을 오랫동안 개척하고 성장시켜 좋은 열매를 수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를 위해서는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깨닫고, 불평,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생각과 행동에서 벗어나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릴 수 있는 평온하고 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평온함과 인내를 습득하고, 남에게 의지하지 않는 자립성과 쉽게 흔들리지 않는 부동의 자세를 겸한다면 불가능한 많은 일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강력하고 진정한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생의 흐름을 만들어 가는 일정한 ‘자연법칙’을 발견하는 일은 인간의 ‘운명’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이에 더하여 ‘공정, 결백, 성실, 배려’라는 네가지 도덕적 기본 원리에 기반하여 인생을 가꾸어 나간다면 행복과 성공을 누릴 수 있는 인생을 살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자기계발서의 시초이며 수천만 부가 판매된 고전 중의 고전인 만큼 확고하고도 훌륭한 인생의 많은 조언들이 담겨 있지만, 출간된 지 백년이 넘은 두 권의 책을 엮은 탓인지 다른 주제의 파트로 나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장에서 비슷한 내용과 표현이 반복되는 느낌이 없지 않아 짧은 분량임에도 조금은 지루한 면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제임스 앨런이 제시한, 고귀한 생각이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는 고귀한 삶을 만들고 초라한 생각은 불행하고 비루한 삶을 만들어 낸다는 명제만은 시대와 조건을 초월하여 영원히 변하지 않는 훌륭한 삶의 이정표가 되어준다.
마음을 다스려야 바라는 인생을 살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