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김수연님의 서재
15.04.01
김윰윰  2015/04/25 01:45
롤리타라고 하면 흔히 `변태`라는 단어를 먼저 떠올릴 것이다.
책의 서술자인 험버트가 10대 소녀인 롤리타를 사랑하고 그녀와 성적관계를 맺는 모습은 언뜻 부도덕하고 혐오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도덕적으로 선악을 구분하는 것은 딱히 중요하지 않게 보여진다. 이 것은 책을 뿐만아니라 모든 방면에 해당된다고 생각라는데, 한 인물에 대하여 단편적인 부분이 아니라 이 사람 인격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선과 악이라는 흑백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다. 험버트는 어린소녀를 탐하고 그녀의 자유로운 생활을 억압했다는 점에서 부도덕해보이지만 그 내면의 순수하고 열정적인 사랑은 아이러닉하게도 숭고해보인다. 그것은 마지막 장면에서 흘리는 그의 눈물과 롤리타를 그리워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책을 덮을때는 험버트라는 인물에게 든 정에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그는 연민할 수 밖에 없다.

꼭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다.
소재에 대하여 혐오스럽다고 얘기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 이면에 아름답게 빛나는 사랑을 중점으로 보면 사랑스럽다고 느껴지는 이야기다.

롤리타, 내 삶의 빛이요. 내 생명의 불꽃. 나의 죄. 나의 영혼. 롤-리-타. 세 번 입천장에 이빨을 톡톡치며 세단계의 여행하는 혀끝. 롤.리.타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