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야옹님의 서재
나도 남들처럼 다 읽고 책 속의 문구 삽입해가며 멋진 글을 남기고 싶지만 글쓰기란, 특히 책 후기는 너무 어렵다.

옛날의 어머니들은 자기가 무엇이 되겠다는 생각보다는 저마다 누군가의 자양이되는 것을 삶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자모(慈母)라 하였습니다.
사람과사람의 연쇄 가운데에다 자신을 세우기보다는 한 벌의 패션 의상과화려한 언술로 자기를 실현하고, 또 자기를 숨기려 하는 것이 오늘의 문화입니다.
당신의 장탄식이 들리는 듯합니다. 무수한 상품의 더미와 그 상품들이 만들어내는미학에 매몰된 채 우리는 다만 껍데기로 만나고 있을 뿐이라던 당신의 말이 생각납니다.
정작 두려운 것은 그러한 껍데기를 양산해내고 있는 ‘보이지 않는 손 을 잊고 있는것이라 할 것입니다.
- P16
우리는 어차피 누군가의 제자이면서 동시에 스승이기도 합니다.
이 배우고 가르치는 이른바 사제의 연쇄를 더듬어 확인하는 일이 곧 자신을 정확하게통찰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 P13
화사한 언어의 요설이 아니라 결국은 우리의 앞뒤좌우에 우리와 함께 걸어가는수많은 사람들의 삶으로써 깨닫고, 삶으로써 가르칠 뿐이라 믿습니다.
- P18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정치란 사회의 잠재적 역량을 최대한으로조직해내고 키우는 일‘ 이라는 것입니다. 권력의 창출 그 자체는 잠재적 역량의 계발과무관하거나 오히려 그 반대라고 생각합니다.
- P22
피라미드의 건설이 정치가 아니라피라미드의 해체가 정치라는 당신의 글귀를이해할 수 있습니다. 땅을 회복하고노역을 해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든 형태의 피라미드를 허물어야 한다고믿기 때문입니다.
역사는 우리가 맡기지 않더라도 어김없이 모든 것을 심판하기 마련입니다.
우리의 뜻은 우리가 내려야 할 오늘의 심판일 따름입니다.
반구정과 압구정의 남아 있는 모습이 그대로 역사의 평가는 아니라 하더라도 우리는 그것의 차이가 함의하는 언어를 찾아야 한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해체해야 할 피라미드는 과연 무엇인지, 우리가 회복해야 할 땅과 노동은무엇인지를 헤아려야 할 것입니다.
압구정이 콘크리트 더미 속 한 개의 작은 돌멩이로 왜소화되어 있음에 반하여반구정은 유유한 임진강가에서 이름 그대로 갈매기를 벗하고 있습니다.
나는 바람 부는 반구정에 앉아서 임진강의 무심한 불길을 굽어보았습니다.
분의 제거야말로 민족의 역량을 최대화하는 최선의 정치임을 이야기하는 듯반구정은 오늘도 남북의 산천과 남북의 새들을 벗하고 있었습니다.
- P23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 위의 유일한 생산자는 식물이라던 당신의 말이 생각납니다.
동물은 완벽한 소비자입니다. 그 중에서도 최대의 소비자가 바로 사람입니다.
사람들의 생산이란 고작 식물들이 만들어놓은 것이나 땅 속에 묻힌 것을 파내어소비하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쌀로 밥을 짓는 일을 두고 밥의 생산이라고할 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생산의 주체가 아니라 소비의 주체이며급기야는 소비의 객체로 전락되고 있는 것이 바로 사람입니다.
자연을 오로지 생산의 요소로 규정하는 경제학의 폭력성이 - P25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