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심화되는 미중 간 경제 및 지정학적 경쟁 역시 세계화에 관한 모든 논의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이 양대 경제 대국은 상품 및 서비스 무역에 전반적인 장벽을 세움으로써 세계의 다른 무역 파트너들에게도 파급 효과를 끼치고 있다. 기술과 데이터 및 정보 무역을 둘러싼 분쟁은 반세계화와 국경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향후 20년 동안 중국 및 동맹국)과 미국(그리고 대부분의 서방국가) 사이의 신냉전이 가속화되면 우리는 세계 경제의 심각한 분열과 탈동조화를 겪을 것이다. 현재의 지정학적 불황이 심각해지면 세계 경제는 첨자 여러 개의 세력으로 계속 분열될 것이다.
1989년부터는 초세계화의 시대였다. 대부분의 신흥시장 경제가 더욱 자유로운 무역가 자본 흐름을 받아들였다. 상품과 서비스, 자본,투자,노동,기술,데이터와 정보가 국경을 자유롭게넘나들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이런 초세계화의 비용을 인지하게 되면서 반발하기 시작했고,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경제학자 대니 로드릭과 다른 이들은 초세계화와 민주주의 그리고 국가주권이 ‘서로 모순된 3축소해야중 딜레마‘를 이루고 있다고 주장한다. 민주주의와 주권을 유지하려면 초세계화를한다.
세계화와 무역은 선진경제의 저숙련 블루칼라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주었다. 가상 접속이 물리적 존재를 대신하면서 저숙련 및 반숙련 화이트칼라 서비스 노동자들도 점점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원칙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이 무역 제한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해답은 고통받는 이들에게더 관대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자유로운 무역으로 모든 사람이 더 잘살 수 있게 하려면뒤처진 소외 계층에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는 대신 승자에게 부를몰아주어 불평등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악화시켰다.
중국은 수년 동안 덤핑, 차별적 비관세 장벽, 강제 기술이전, 과잉 생산, 산업 보조금 지급 등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시행해왔다. 이는 중국 기업들을 옹호하고 많은 미국 기업이 공정한 경쟁의 장에서 경쟁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