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넌 이래로, 로마는 벌써 오랫동안 내전 상태였다. 지중해 전역을 돌아다니며 이어졌던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와 그 잔당) 사이의 내전이 간신히 끝났지만, 카이사르의 암살로 다시 한 로마는 내전에 말려든다. 자칭 해방자들은 지리멸렬한 채 암살 이후 정국을 제대로 수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이지 못했고, 결국 유언장에 의해 카이사르를 계승하게 된 옥타비아누스와 힘으로 카이사르의 후계자를 자칭하는 안토니우스의 주도로 결성된 제2차 삼두와 두 번째 내전을 벌인다.
실력과 명분을 가진 삼두 쪽 리더와 달리, “해방자”들 쪽에서는 그만한 인물이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 이 두 번째 내전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면 양측을 이끄는 지도자들 사이에는 공통점도 보인다. 군사적 재능이 제로에 가까웠다는 건 옥타비아누스와 브루투스의 공통점이고, 군사적 재능은 있지만 냉정함이 부족했던 건 안토니우스와 카시우스 모두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니까.
하지만 옥타비아누스에게는 브루투스 따위가 지니지 못한 냉철한 판단력과 불굴의 의지가 있었고, 무엇보다 자신이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에 비해 브루투스는 여전히 자신이 무엇을 위해 싸워야 하는지를 가늠하지 못하는 모습만 보이고 있었고, 이런 태도는 전투 중 오히려 마이너스 요인이 되어버렸다.
양측의 충돌은 필리피 전투에서 사실상 끝나고 만다. 양측의 네 명의 사령관 모두 군사적 재능이 A급은 아니었기에 전투는 깔끔하게 끝나지 못했고, 그 때문에 양측 모두 사상자 수도 많았지만, 결국에는 결정적인 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공화파의 패배로 끝난다. 그렇게 BC 1세기 로마의 두 번째 내전은 끝나는데, 곧이어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사이의 세 번째 내전이 또 벌어진다. 이 시대 로마에 살았던 사람이라면 말 그대로 세상 망하는 줄 알지 않았을까...
이번 권에서 자주 언급되는 건 전쟁에 들어가는 비용 부분이다. 마침 당시 지중해 전역에 걸쳐 극심한 가뭄으로 곡물의 수확량이 매우 줄었고, 단기간에 많은 인원들을 먹여야 하는 군단을 소집한 상황에서 이는 굉장히 큰 문제였다. 소위 해방자 진영은 이 문제를 매우 간단하게 해결하는데, 자신들의 영향력이 미치는 제국의 동방 속주들을 쥐어짜는 식으로 전비를 조달했던 것.
물론 고대의 제국 운영이란 대체로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긴 했지만, 그런 식으로는 제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과도한 수탈은 반발심만을 키우게 되고, 기회만 된다면 오늘의 압제자들에 저항하는 내일을 그리게 될 테니까. 해방자들의 근시안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반면 군대는 물론 수도 로마의 시민들에게 나눠줄 밀까지 구해야 했던 삼두파(중에서 옥타비아누스)는 좀 더 현실적인 방안을 강구한다. 폼페이우스가 죽은 후 지중해 서부 해상을 누비던 그의 아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와의 협상을 통해 밀을 구입하기로 했고, 이는 당장의 문제로부터 한숨을 돌리게 만들었다.
전쟁은 수많은 목숨이 희생되는 것뿐만 아니라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 때문에 그냥 겁을 주려고 함부로 운운할 것도, 더구나 한 나라의 최고 결정권자가 전쟁을 쉽게 생각해서는 절대로 안 되는 그런 일이다. 전쟁이 뭔지도 모르는 리더가 일으킨 전쟁은 결코 좋은 결과를 낳지 못한다. 어찌어찌 이기더라도 그 과정에서 남긴 상처는 적어도 그 리더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다 치유되기 힘들 정도로 크다.
이런 면에서 우리는 정말 최악의 지도자가 있었음이 이즈음 하나씩 밝혀지고 있다. 통치자의 자격이 혈통과 돈에서 나왔던 고대 로마에서도 존재해서는 안 되는 지도자가, 하물며 민주적 권력 위임을 통해 통치하는 현대에 그런 망상에 빠진 엉터리가 대통령 노릇을 했다고 생각하니 정말 위기였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