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노란 가방의 작은 책꽂이
  • 신학과 과학의 화해
  • 낸시 머피
  • 9,000원 (10%500)
  • 2021-12-25
  • : 318

신학과 과학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충돌, 혹은 최소한 갈등과 긴장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에 사골 우려먹듯 꺼내는 에피소드 중 하나가 갈릴레이의 재판인데, 잘 각색된 대중판에 의하면 이 재판은 이성적 사고보다 맹목적 믿음만을 강조하던 권위적이고 전제적인 교회 당국에 의해 오직 진리가 무엇인지를 합리적 사고와 관찰로 추구하던 한 과학자가 입틀막 당한 사건이다. 그러나 마침내 시대는 변했고, 이제 억압받던 과학자들이 마음껏 종교를 무시할 수 있는 날이 왔다는 것이 이 동화의 결말이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니다. 갈릴레이의 재판에 관한 대중적 각색에는 그 재판이 당대의 과학적 패러다임 사이의 충돌이라는 점이 제대로 설명되어 있지 않다. 천동설과 지동설은 그냥 망원경으로 하늘을 쳐다보면 뚝 떨어지는 이론이 아니었고, 두 이론 모두 관측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충분히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 논쟁은 하나의 과학 이론과 다른 이론 사이의 충돌이었고, 당시 교회는 그런 종류의 과학을 연구하는 기관이기도 했다.(당장 천문학자들 중에 성직자들이 꽤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이런 식의 대립적 구조는 사라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 새로운 싸움은 이전과는 좀 다른 양상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지만, 이번에는 교회 내 이른바 근본주의자들을 중심으로 도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듯하다. 성경에 대한 문자적인 이해만을 고수하는 이들은 최근의 과학적 성과를 부정하거나 무시하면서 성경을 과학책으로 만들고 있다. 이번엔 정말로 과학과 신학의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물론 그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이 책은 이 두 분야의 갈등을 조화시킬 수 있는 길을 찾아간다. 과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후에 신학도 공부한 저자는 이 주제에 관해 의미 있는 말을 할 위치에 있어 보인다. 현대 저자는 종교개혁 급진파라고도 불리는, 재세례파 전통의 기독교 공동체 안에 몸을 담고 있다.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역시 신학과 과학의 형식적 유사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다. 저자는 이른바 “과학으로서의 신학”을 주장한다. 신학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가설을 세우고 연역적 추론을 사용해 이론을 정립해 나간다. 둘 모두 데이터가 필요하고, 이 경우 신학의 데이터는 성경과 그 해석사, 그리고 실제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의 삶이 주된 데이터다. 과학 역시 흔히 생각하는 ‘객관적 진리’를 도출하는 단순과정이 아니라는 점 또한 이제는 많이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오늘날의 과학이론은 증명이 아니라 확증을 추구한다.


그럼 과학과 신학은 어떤 형태로 서로 관계를 맺을까? 이 부분 또한 인상적인데, 저자는 과학의 제 분야들의 계층 모델을 제시하면서, 하나의 계층에 속한 과학은 그 상위 계층의 설명을 필요로 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이 계층 모델의 가장 기저에 있는 물리학은 그 상위의 화학적 설명으로 해석되는 면이 있고, 다시 화학은 생물학적 설명이 필요하다. 저자는 여기에서 최상위에 신학의 자리를 마련한다. 우주론과 사회과학적 연구를 설명하는 데 신학적 이해가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 모델에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뿐 아니라, 심리학과 사회학, 윤리학 같은 사회과학 영역까지 통합되어 있는 점이 독특하다. 서로 다른 학문 분야 사이의 통섭적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는 현재 딱 맞는 설명인 것 같기도 하고. 저자는 자신의 이런 모델이 어떻게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지를, 우주의 미세조정이나 영혼, 진화론 등의 주제를 가지고 입증하고자 시도한다.




사실 서로 다른 분야를 통합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양측의 장점만을 취하는 게 쉬울 것 같지만, 결국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결과물이 나올 수도 있고, 어느 한 쪽에 치우친 결과물일 수도 있다. 이번 경우 저자의 입장은 전반적으로 과학의 설명에 대한 신학적 해설이라는 느낌이다.(당연히 이에 불만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건 과학과 신학이 하나의 계층적 모델을 이루고 있다는 저자의 입장에서 나온 것이고, 같은 대상에 대한 각자의 입장에서의 설명이라고 보면 그리 무리한 입장은 아니다.


과학의 일원론적 견해와의 유사성(조화)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재세례파의 영육일원론을 대안 중 하나로 제시하는 것도 어느 정도나 설득력을 가질까 하는 의문은 든다. 물질 말고 아무 것도 없다는 주장과 영혼이 육체와 분리되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은 외적으로는 유사하지만 그 함의는 사뭇 다르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대화, 그리고 조화를 위한 노력은 분명 가치가 있는 일이다. 신학과 과학의 통합적 이해 역시 분명 의미가 있어 보이고. 한 번쯤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