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의 일방적 희생자로 여겨졌던 청은 사실 비공식 제국으로서 조선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당시 일본의 종주권 위협에 대응하여 청은 다자적 제국주의를 도입하여 청일전쟁 이후까지 일본의 도전을 견뎌냈다. 그러나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에 의해 일방적 제국주의로 대체되었다.
19세기 청은 태평천국과 같은 민란, 경제 불황, 환경변화 등의 문제와 열강의 진출로 도전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널리 주장되었듯이 청이 단번에 제국주의의 희생자가 된 것은 아니었다. 아편전쟁으로부터 시작되는 열강의 침입으로 인한 ‘중국의 과분(瓜分)’이라는 내러티브와 ‘조공 체제’에 기반한 ‘중화적 세계 질서’라는 이미지는 19세기에도 여전히 청이 동아시아적 의미에서 제국주의 국가였다는 사실을 가려 왔다. 청의 조선 정책을 전통적인 관점을 제쳐두고 바라볼 때, ‘다른 제국주의자들이 조선에 취했던 조치들과 여러모로 흡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청은 “영토의 직접적인 합병 없이” 상대국에게 ‘온전한 주권국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용인될 수 없을 정도로 정치적 간섭과 군사적 강압’을 행사하는 비영토적(non-territorial), ‘비공식 제국’으로서 조선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일본이 청의 종주권에 도전해왔을 때, 청은 ‘모든 외부 세력에게 동등한 접근’을 제공하는 ‘다자적 제국주의’ 질서를 조선에 도입하였다. 이 질서는 조약과 국제법, 그리고 상업을 중심으로 지탱되었다. 조선 정책을 주도한 이홍장은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시작으로 조선이 열강과 조약을 맺도록 유도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입된 다자적 제국주의는 조약에 근거하여 여러 열강을 동등하게 대하는 ‘조선해관’을 통하여 뒷받침되었다. 몇몇 역사학자들은 중국의 전근대적인 조선 정책이 조선의 근대화를 가로막았다고 여겼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예컨대, 이홍장이 주도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은 서구 열강들의 여타 불평등 조약보다 더 나은 조건이었고, 원세개가 조선의 차관 도입을 저지하지 않았더라면 조선은 더 심한 침탈에 시달렸을지도 모른다. 조선이 해외에 공사관을 설립하려는 시도는 청이 아닌 알렌과 데니가 먼저 제안한 것이었고, 공사관 설립과는 별개로 고종은 여전히 전통적인 의례를 준수하였다.
‘비공식 제국’ 청의 정책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측면은 상업이다. 청 상인들은 제국주의 정책의 협력자로서 조선에 들어와, 청이 구축해 놓은 제도적 틀 안에서 점차 일본 상인들을 제압해 나갔다. 청일전쟁 이후 다자적 제국주의 질서가 계속 유지되었던 것은 이들이 조선 내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러일전쟁 이후 조선이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하였을 때, 삼국간섭 같은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다자적 제국주의는 시효가 다 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일본은 조선에서 청을 비롯한 외국 상인들을 내보내는 한편, 철도 건설, 화폐 개혁 등을 통해서 조선을 잠식해나갔다.
청은 비공식 제국으로서 조약, 국제법, 상업에 의해서 지탱되는 다자적 제국주의를 조선에 도입하여 기존의 종주권을 유지하였고, 이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일방적 제국주의로 대체되었다. 상업을 중심으로 유지된 청의 다자적 제국주의와 그 질서 속에서 조선(한국)의 모순적인 움직임은 기존의 청-조선 관계를 다시 보게 한다. 이는 더 나아가 ‘제국주의의 시기, 제국과 식민국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제국주의는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가?’, 라는 질문을 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