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많은 서평이 궁금하다면? 클릭!! >
코딩은 몇년 전 부터 핫하다. 아이들도 학교에서 코딩을 배우고, 주변에 코딩학원이 심심찮게 늘고있다. 그런데, 노코딩 AI라니.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했다. 정말 이게 가능한지도 궁금하고.
오늘은 노코딩 AI이다.

사실 코딩이고, AI고나는 아직 잘 모른다.
대강 알고 있는 이유는 다양한 회사들이 이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정도랄까. 경제 신문이나, 책을 보면 AI 이야기는 빠지지 않고 나온다 딥러닝이니 머신러닝이니. 뭔지 잘 모르지만, 차세대를 이끌어갈 기술 이라는 것 정도는 알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코딩을 배우는게 과연 맞는가, 에 대해선 의구심이 있었지. 기본은 할줄 아는게 좋긴 하겠지만, 모든 사람이 AI를 만들 수 있는 인재는 아닐테니까. 결국 소수의 과학자를 위한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었다. 그런데 노 코딩이라니. 문득 경제 채널에서 이제 코딩 없이 앱을 만들 수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AI도 그런건가? 호기심이 생겼다.
문과도 할 수 있는 노코딩 AI
AI솔루션이 있으면 누구든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AI 솔루션 기술이 발전하면 코딩으로 하는 것들이 AI 솔루션을 통해서 많이 구현 될수 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 그리고 AI로 인해서 산업 생태계도 변화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경제기사들을 보면 느낄 수 있지만 IT 계열 직업 종사자들의 연봉이 심상치 않다. 그 이유는 기업들이 AI 기술을 현업에 도입하는 것을 원해서 이다. 그렇기에 단순히 코딩을 하는 것도 좋은 직업군이지만 노코딩 AI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는것도 직업을 구하는 좋은 방법중 하나다.
메타버스가 출현하면서 AI가 급부상 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메타버스는 단순히 놀이 공간마은 아닌 것 같다. 분당 서울대 병원에서 폐암 수술 교육도 진행할 수 있을정도면 메타버스는 곧 모든 분야에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사라지는 공간, 그리고 이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은 바로 AI이다.
문제가 답이다
기업이 AI기술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중 하나는 '문재 해결 역량'을 가진 인재가 없다는 것이다. 노코딩으로 AI를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렇다는건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서서 창의적은 인재가 필요하다능 이야기 이다.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것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우리가 지금 포인트로 잡아야 하는 부분이다.
AI시대가 되면서 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고 또 다시 생겨날 것이다. 이 변화는 늦출 수도 막을수도 없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 속에 적응해야만 한다. 그것을 우리는 '코딩'이 답 이다 라는 결론에 많이들 코딩을 배우고 있지만, 이 책에서는 그것보다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능력'을 꼽고 있다.
세계 경제 포럼에서도 4차 혁명 인재의 10대 역량을 아래와 같이 이야기 하고 있다.
복잡한 문제 해결렬 (Complex Problem Solving)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창의성(Creativity)
인지자원 관리 역량(People Management)
대인관계 역량(Cooperation with Others)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판단과 의사 결정력(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서비스 지향성 (Service Orientation)
협상력(Negotiation)
융통성(Cognitive Flexibility)
위에 능력들을 보면 전부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과 관련된, 오래전부터 쭉, 중요하게 생각했던 영역들이다. 코딩을 잘 하는것도 물론 좋겠지만 그쪽능력이 없으면 '코딩을 잘 하는 사람'을 쓰거나 'AI 솔루션'을 통해서 AI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그래서 저자는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단 이야기아 함께 '문제가 무엇인지' 찾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돈이 되는 불편함을 찾아야 하는데, 그것은 연습으로 가능하다. 우리는 삶속에서 문제를 찾고 해결방안을 찾는 연습을 계속 해야한다.
위의 능력들을 보면 결국 CEO가 가져야 하는 역량 같은 느낌도 있다. 과거에 CEO의 모습과는 또 다른 모습이다. 과거의 특히 산업화 초기에는 위험에 과감하게 도전하고, 조직을 하나로 뭉쳐 이끌어가는 창업가들이 주도했다 이병철, 정주영 회장과 같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성장기에는 외부 투자금을 확보하고, 설비 확충이랄지, 인력확대를 통해 매출을 높이는 사람, 그리고 성숙기에는 효율적 관리가 가능한 CEO 가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기술이 변혁을 일으키고 있는 시대이다. 시장환경이 급격하게 변화중이고, 이것을 함께하지 못한다면 생존까지 위험하 시대이다. 즉, 지금 필요한 사람은 미래를 잘 파악하는 전략적 안목과 의사결정이 CEO의 핵심 역량이 되어버렸다. 위에서 말한 4차 혁명의 인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정리하며
이 책은 이것말고도 AI시대에 필요한 지식 (저자는 질 좋은 데이터 수집이 핵심이라고 이야기한다)이나 AI 솔루션, Orange 3을 이용해서 분석하는 방법등, 실제적인 AI의 사용법도 적혀있다.
하지만 결국 저자가 이야기 하고 싶은것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의 필요성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개발자가 될 것이 아니라면 코딩은 시간이 지나면서 썩 필요한 지식이 아닐 수 있다. 코딩보다는, 코딩을 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라는 질문이 남게 될것이라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코딩은 하나의 지나가는 과정인 느낌. 급변하고 있는 시대에 잠깐 등장한 반짝 스타같다.
결국 제자리로의 회귀다. 책을 읽고, 사고하는 능력의 필요성이구나 싶었다.
지금 나역시도 많은것이 변화하고 있는 시기이다. 내 미래를 다시 설계하고 있고, 예측해보고 있다. 앞으로 너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걸 안다. 그 길중에 하나가 코딩이 아닐까 싶었는데 노 코딩 AI책으로 바뀐 부분들이 있다. (물론 내 남자도 같은 얘기를 했던 것 같고.) 코딩보다는 코딩으로나온 결과물이 중요한 시대가 올 것이라는 것 코딩은 하나의 도구이고, 그것은 점점 다루기 쉬운 방향으로 물건들이 나올거고 그걸 통해서 새로운 걸 창조해 내는게 중요하다는 것.
생각들이 정립되는것을 많이 도와준 책이다.
< 더 많은 서평이 궁금하다면?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