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의 법칙
Ksjice 2020/11/26 18:14
Ksjice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 아웃라이어 (10주년 리커버 에디션)
- 말콤 글래드웰
- 14,220원 (10%↓
790) - 2019-04-29
: 6,327
✅ 성공은 무서운 집중력과 반복된 학습의 산물이다.
“ 우리도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는 사실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자기 분야에서 최소한 1만 시간 동안 노력한다면, 누구나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만 시간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매일 하루도 빼놓지 않고 3시간씩 연습한다고 가정했을 때, 10년을 투자해야 하는 엄청난 시간이다. 1만 시간의 노력을 다할 때 비로소 우리 뇌는 최적의 상태가 된다.
글래드웰은 우리가 성공에 대한 잘못된 신화(Myth)에 얽매여 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바로 가장 똑똑하고 영리한(The best and brightest) 사람이 정상에 오른다는 신화다. 그래서 보통 사람들의 범주를 벗어난 성공을 이룬 사람들, 즉 아웃라이어를 논할 때 그 사람의 지능을 가장 궁금해 한다.
이 신화에 따라 사회는 사람들의 IQ를 측정하고 그에 의거해 사람들을 선발하고 차별한다. 그러나 글래드웰에 따르면 아웃라이어가 되는 데 필요한 제1 요인은 천재적 재능이 아니라 소위 ‘1만 시간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쉼 없는 노력이다”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
‘아웃라이어’란 사전적 의미로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따로 분류되어 있는 물건’ ‘표본 중 다른 대상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통계적 관측치’를 뜻한다.
말콤 글래드웰은 단어의 의미를 확장해서 ‘보통 사람의 범주를 넘어선 성공을 거둔 사람’ ‘성공의 기회를 발견해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 사람’을 아웃라이어로 통칭한다.
그 스스로가 이미 한 사람의 아웃라이어로서, 글래드웰은 일반적인 통념을 뒤바꿔놓았다.
이 책에서 일만 시간의 법칙은 사람들이 자신이 꿈 꾸며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필수적으로 갖추어 나가야 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시간 투자와 성공에 관한 상관 관계의 '일만 시간의 법칙'은 "어느 분야에서든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 즉 마스터가 되려면 일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며 작곡가, 야구선수, 소설가, 스케이트 선수, 피아니스트, 체스선수, 숙달된 범죄자, 그밖의 어떤 분야에서든 연구를 거듭하면 할수록 이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만 시간은 대략 하루에 3시간 일주일에 20시간씩 10년간 연습한 것과 같다. 어느 분야에서든 이보다 적은 시간을 연습해 세계 수준의 전문가가 탄생한 경우는 발견할 수 없다고 한다.
일만 시간의 법칙은 '말콤 글래드웰'의 말처럼 전문가로 자신의 꿈을 성취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한다.
일만 시간의 법칙 이외의 다른 환경과 요소로 성공의 자리에 오른 이들도 있기는 하다. 자신의 재능이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너무나 뛰어나서 많지 않은 나이에 자신의 꿈을 이루어낸 이들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보았을 때 이 일만시간의 법칙은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김연아'가 빙상 퀸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엄청난 노력과 많은 시간의 훈련에 몰두한 것을 볼 수 있다.
축구선수 '박지성'도 마찬가지이다. 노력은 그 가치를 결과로 나타낸다. 땀은 결실을 가져오는 것이다.
‘일만 시간의 법칙'을 그저 흘려 들어서 하나의 바람처럼 스쳐 지나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의 그 자리에서 적용 가능성을 찾아봐야 한다.
지금까지 무엇이 부족하였는지 그리고 지금 내가 하는 일은 무엇이며 다른 이들보다 더 잘하거나 재능이 있다고 인정받거나 느껴지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그 분야에 집중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한다면 지금 이 시간이 결코 늦지 않을 것이며 #말콤글래드웰 의 말처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 책속으로:
영어의 숫자체계는 대단히 불규칙하지만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들 나라의 숫자체계는 매우 논리적이다. 11은 ‘십일’이고 12는 ‘십이’이다.
24는 ‘이십사’이며 계속 이런 식으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 어린이들은 미국의 어린이들보다 숫자 세는 법을 훨씬 빨리 배울 수 있다.
중국에서는 네 살만 되어도 보통 40까지 헤아린다. 그 나이의 미국 어린이들은 고작 15까지밖에 세지 못하며 대부분 다섯 살이 되도록 40까지 세지 못한다.
이에 따라 다섯 살짜리 미국 어린이는 같은 나이의 아시아 어린이에 비해 기초적인 수학 훈련에서 1년이나 뒤처지게 된다.
#도서협찬 #아웃라이어 #필독서 #성공 #김영사 #책 #글 #1만시간의법칙
PC버전에서 작성한 글은 PC에서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